뉴스

산업장관 "한미 관세 협상 타결로 단기 수출 불확실성 해소"

산업장관 "한미 관세 협상 타결로 단기 수출 불확실성 해소"
▲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오늘(4일) "한미 관세 협상 타결로 우리 기업의 단기적 수출 불확실성이 해소됐다"며 "조선, 자동차, 반도체, 바이오 등 전략 산업 분야에서 미 측과 협력을 강화하고, 새로운 미국 시장 진출 기회로 활용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습니다.

한미 관세 협상을 마치고 지난 1일 귀국한 김 장관은 귀국 후 첫 일정으로 이날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대미 통상 전략 라운드 테이블'을 주재하고 이같이 말했습니다.

김 장관은 한미 관세 협상 결과와 관련해 "한국은 주요국 대비 불리하지 않은 경쟁 조건을 확보했다"고 평가하고 전략 산업 분야의 미국 진출 기회가 늘어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앞서 일본과 유럽연합(EU)은 각각 5천500억 달러, 6천억 달러 규모의 대미 투자를 약속하고 상호관세율을 각각 25%, 30%에서 15%로 낮췄습니다.

이어 한국은 지난달 30일 '마스가'(MASGA)로 명명한 한미 조선 협력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3천500억 달러 투자 계획을 제시하며 상호관세율을 25%에서 15%로 낮췄습니다.

산업부는 한미 관세 협상 타결 이후 이날 처음 경제단체, 주요 업종별 협회, 학계 등이 참석하는 대미 통상 전략 회의를 열어 이 같은 협상 결과를 업계와 공유하고 향후 대응 방안을 논의했습니다.

오늘 회의에는 자동차, 반도체, 배터리, 조선, 철강, 바이오 등 업종별 협회와 대한상의, 한국무역협회, 한국경제연구원, 중견기업연합회, 중소기업중앙회 등 경제단체, 산업연구원,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등 최고위급 관계자들이 참석했습니다.

회의 참석자들은 먼저 이번 한미 관세 협상 타결로 주요국과 동등한 경쟁 여건이 마련된 것을 높이 평가했습니다.

이어 미국의 상호관세 15% 부과를 앞두고 업종별 취약 분야에 대한 차질 없는 지원과 기업에 실질적 도움이 되는 대미 투자 패키지 등 정부의 적극적인 역할을 요청했습니다.

김 장관은 "미국의 관세 조치에 대응해 수출 애로 해소, 대체 시장 진출, 세제·자금 지원 등 후속 지원 대책을 마련할 것"이라며 "중장기적으로는 우리 산업의 근원적 경쟁력을 압도적으로 높일 수 있는 전략을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습니다.

산업부는 앞으로도 국익 최우선 원칙 아래 대미 통상 현안을 안정적으로 관리하고, 업계와 소통하며 관세 협상 관련 후속 조치를 차질 없이 이행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