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루비오 못 만난 위성락…'패키지딜' 전략 난항?

<앵커>

미국을 방문한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이 주요 협상 상대인 루비오 미 국무장관을 만나지 못하고 귀국했습니다. 미국 투자 확대 같은 당근책 등을 관세와 함께 테이블에 올리는 우리의 패키지딜 전략이 어려워지는 거 아니냐는 우려가 나옵니다.

강민우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이 나흘간 방미 일정을 마치고 어제(24일) 저녁 귀국했습니다.

[위성락/국가안보실장 : 앞으로 경제부처 관료들이 세부 협상을 진행할 것이기 때문에 지금 협상은 진행 중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위 실장은 마코 루비오 미국 국무장관과 협의하기 위해 현지 시각 21일, 백악관을 방문했지만 면담 직전 트럼프 대통령이 루비오 장관을 긴급 호출했고, 그 둘의 회의가 길어지면서 대면 협상은 하지 못했다고 설명했습니다.

대신 앤디 베이커 국가안보부보좌관 등과는 현안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고, 루비오 장관과는 추후 유선으로 협의했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대면 협상의 불발은 협상 난항에 대한 우려를 키우고 있습니다.

우리 정부 협상 전략은 관세뿐 아니라 투자, 방위비 등 여러 의제를 묶는 '패키지딜'.

미국 무역대표부는 비관세 장벽을, 상무부는 미국 내 투자를, 국무부는 방위비 등을 각각 다루는 터라 협상 전선이 너무 넓다는 게 '패키지딜' 전략의 이유로 꼽힙니다.

조선·자동차 분야 대미 투자, 방위비 분담 등은 우리가 미국에 제시할 수 있는 카드입니다.

유전자변형 감자 수입 승인, 구글, 애플 등을 압박하는 국내 온라인플랫폼법의 입법 속도 조절은 미국과의 협상 여지를 두고, 쌀 시장 개방이나 소고기 수입 제한 철폐는 '최대한 방어'하는 방침을 방미 전 세웠던 것으로 파악됩니다.

다음 주에는 조현 외교부 장관이 미국으로 가 루비오 장관을 만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전해졌는데, 정부는 관세 협상 시한인 다음 달 1일까지 협상을 이어간다는 방침입니다.

(영상취재 : 이병주·하륭, 영상편집 : 오영택, 디자인 : 최하늘)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