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기재·통상 25일 미국서 '2+2 담판'…외교·산업 장관도 뛴다

기재·통상 25일 미국서 '2+2 담판'…외교·산업 장관도 뛴다
▲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이 오는 25일 미국 워싱턴DC에서 '2+2 통상협의'에 나섭니다.

관세협상 마감시한(8월 1일)을 앞두고 최종 담판 성격입니다.

조현 외교부 장관,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도 조만간 미국을 찾아 각각 카운터파트를 설득할 예정입니다.

대통령실의 위성락 국가안보실장, 초당적인 한미의원연맹 방문단은 이미 미국에 머물고 있습니다.

구윤철 부총리는 오늘(22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이재명 정부 초대 경제·외교 장관들과 첫 대외경제장관회의를 마친 뒤 기자들을 만나 "긴급하게 대외경제장관회의를 개최해 향후 대미 협상, 관세 협상에 대응할 방향의 인식을 공유하고 전략도 논의했다"며 "8월 1일까지 시간이 많이 남아 있지 않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저와 통상교섭본부장이 미국 재무부 장관·무역대표부(USTR) 대표와 '2+2'로 25일 회의를 하는 것으로 확정됐다"고 밝혔습니다.

이른바 '7월 패키지' 추진에 합의한 지난 4월말 회의 이후로 석달만에 '2+2 협의체'를 재가동하는 것입니다.

다만, 종전의 회의체 멤버였던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을 대신해 통상실무를 총괄하는 통상교섭본부장이 나서는 구도여서 주목됩니다.

구윤철 부총리는 "미국 쪽에서 재무장관과 USTR 대표가 (참석하는 것으로) 요청이 와서 저희도 그렇게 하기로 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스콧 베선트 미 재무장관을 제외하면 나머지 3명의 멤버는 모두 바뀐 셈입니다.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로서는 산업통상 전반을 총괄하는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보다는 '관세전쟁'에 첨병으로 나선 제이미슨 그리어 USTR 대표를 내세워 더 디테일한 합의를 도출하겠다는 포석으로 보입니다.

관계 장관들도 일제히 미국으로 향합니다.

조현 외교부 장관, 김정관 산업부 장관은 빠르면 이번 주 미국을 찾아 각각의 카운터파트인 마코 루비오 국무장관, 러트닉 상무장관을 접촉할 예정입니다.

구 부총리는 "모든 관계부처가 원팀으로 국익과 실용 차원에서 계획도 치밀하게 짜고 대응도 총력으로 하기로 했다"며 "마지막 갈 때까지도 최선을 다해 아주 촘촘한 전략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말했습니다.

8월 1일 협상시한의 연장 가능성을 묻자, "가서 협상을 해야 한다, 협상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답했습니다.

오늘 회의에는 경제부총리, 산업부 장관, 외교부 장관, 통상교섭본부장 외에도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및 관계부처 차관들이 참석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