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6·27 대책 후 수도권 아파트 거래 중위가·면적·건수 감소"

"6·27 대책 후 수도권 아파트 거래 중위가·면적·건수 감소"
주택담보대출 한도를 6억 원으로 제한한 정부의 6·27 대책 발표 이후 수도권(서울·경기·인천) 아파트 시장에서 거래 가격대·면적·건수가 모두 감소했다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오늘(21일) 부동산 플랫폼 직방이 6월 10일부터 7월 15일까지의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를 분석한 결과 대책 발표 전 수도권 아파트의 중위 거래가는 6억 6천만 원, 전용면적은 84㎡였으나 발표 이후에는 각각 5억 원, 75㎡로 감소했습니다.

6·27대책 전후 수도권 거래 시장 변화 (사진=직방 제공, 연합뉴스)

대책 발표 이후 중위 거래가는 1억 6천만 원 떨어지고, 면적은 9㎡ 줄어든 것입니다.

대출 제한에 따라 자금 부담이 확대되면서 거래할 수 있는 아파트의 조건 자체가 변화했고, 이에 따라 수요자들의 선택 기준 또한 달라진 것으로 분석됩니다.

같은 기간 거래량은 대책 발표 전 2만474건에서 발표 후 5천529건으로 약 73% 감소했습니다.

서울의 경우 아파트 가격·면적·거래량 모두 축소됐습니다.

중위 거래가는 10억 9천만 원에서 8억 7천만 원으로 낮아졌고, 거래된 아파트의 전용면적은 84㎡에서 78㎡로 줄며 상대적으로 작은 면적대 아파트의 거래가 늘어난 경향을 보였습니다.

대책 전 7천150건이었던 거래량은 1천361건으로 줄었습니다.

경기는 중위 거래가격이 5억 5천만 원에서 4억 4천500만 원으로, 전용면적은 78㎡에서 75㎡로, 거래량은 1만1천321건에서 3천364건으로 각각 감소했습니다.

인천은 중위 거래가가 3억 7천900만 원에서 3억 6천만 원으로, 전용면적은 77㎡에서 75㎡로, 거래량은 2천3건에서 804건으로 축소했습니다.

직방은 "거래할 수 있는 아파트의 조건 자체가 바뀌며 중소형 면적과 실현가능한 가격대 중심의 거래가 증가했다"면서 "이는 심리적 위축이라기보다 자금 여건과 대출 가능 범위에 따른 선택 구조의 재편"이라고 분석했습니다.

다만, 거래 자체가 급감한 상황에서 나타난 현상이라 현재의 조정 흐름이 일시적 착시인지 구조적 전환의 신호인지는 좀 더 시간을 두고 관찰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사진=직방 제공,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