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 2천 명 증원'에 반발해 학교를 떠났던 의대생들이 약 1년 5개월 만에 학교 복귀를 선언했습니다.
의대생들은 "압축이나 날림 없이 제대로 교육받겠다"면서 '특혜' 요구와는 선을 그으면서도 정부에 복귀를 위한 '학사일정 정상화' 대책 마련을 요구했습니다.
의대생 단체인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는 오늘(12일) 서울 용산구 의협회관에서 국회 교육위원회, 보건복지위원회, 대한의사협회와 함께 '의과대학 교육 정상화를 위한 공동 입장문'을 내고 이같이 밝혔습니다.
의대협은 입장문에서 "국회와 정부를 믿고 학생 전원이 학교에 돌아감으로써 의과대학 교육 및 의료체계 정상화를 위해 힘쓰겠다"고 말했습니다.
복귀 시점은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았습니다.
의대생들은 지난해 2월 정부의 의대 증원에 반발해 일제히 휴학계를 내고 학교를 떠난 후 대다수가 올해 1학기 수업에까지 불참했습니다.
이에 따라 전국 40개 의대에서 8천305명의 유급이 확정됐습니다.
일부 의대는 학사가 1년 단위로 이뤄져 올해 1학기 유급 조치를 받으면 내년에나 복학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의대생들이 2학기나 혹은 그보다 일찍 복귀하기 위해서는 정부나 대학이 일종의 '학사 유연화' 조치를 해야 하는 상황입니다.
이선우 의대협 비대위원장은 복귀 시점에 대해 "여러 단위들의 협조가 선행돼야 하기 때문에 정확한 날짜를 말하는 게 불가능하다"고 말했습니다.
이 비대위원장은 "교육 총량이나 질적 차원에서 압축이나 날림 없이 제대로 교육받겠다는 의지를 표명한 것"이라며 "학사 유연화와 같은 특혜와는 다른 입장"이라고 밝혔습니다.
정부의 앞선 유화조치에도 복귀하지 않다 입장을 바꾼 데 대해서 이 비대위원장은 "전 정부 때 잃어버린 신뢰관계를 장기간 대화하며 회복해왔다"고 설명했습니다.
이날 공동성명 발표에는 김영호 국회 교육위원장과 박주민 보건복지위원장, 김택우 의협 회장도 함께했습니다.
이들은 "의대생 학사 정상화를 시작으로 국민 모두가 안심할 수 있는 의료 정상화의 길을 열어달라"고 호소했습니다.
이들은 교육 정상화 방안 마련을 위해 정부와 함께 노력하겠다며, "복귀한 의대생들이 불이익이나 불안을 겪지 않고 학업에 전념할 수 있도록 충분한 보호조치를 함께 마련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들은 이재명 대통령과 정부를 향해 "학사일정 정상화를 통해 의대생들이 교육에 복귀할 수 있도록 종합적인 대책을 마련해달라"며 "전 정부의 무리한 정책으로 인해 초래된 의료 현장의 피해 복구와 중장기적인 교육 및 수련 환경 개선을 위한 협의체를 구성하고 당사자들의 참여를 보장해 달라"고 요구했습니다.
김택우 의협 회장은 "의료사태로 인해 미래 준비하던 수많은 젊은이와 가족, 교수님, 의료진, 국민 여러분께서 말할 수 없는 피로와 아픔을 견뎌오셨다"며 고개를 숙인 후 "의학교육이 회복을 넘어 더 나은 방향으로 혁신될 수 있도록 책임을 다하겠다"고 말했습니다.
김영호 위원장은 이선우 비대위원장 등이 제안한 학사 정상화 방안 등을 대통령과 국무총리에게도 전달했다며 "대학마다 사정과 상황이 다르니 오늘 큰 물꼬는 텄다고 생각해주면 된다"고 설명했습니다.
한편 국회와 의협 등은 입장문에서 "전공의 수련 재개도 더 이상 늦출 수 없다"며 "국회, 의료계는 이해당사자들과 함께 실무 논의 단위를 신속히 구성해 구체적 방안을 마련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