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일본, 트럼프 관세 서한 받고 '부글부글'…"들이대는 방식 난폭"

일본, 트럼프 관세 서한 받고 '부글부글'…"들이대는 방식 난폭"
▲ 이시바 일본 총리(왼쪽)와 트럼프 미국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으로부터 높은 관세율이 적힌 '서한'을 받은 일본에서 당혹감 속에 격한 반응이 나오고 있습니다.

미국과의 동맹 관계를 강조하며 7차례나 적극적으로 관세 협상에 임해온 일본으로서는 억울하다는 입장이 반영된 것으로 보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7일(현지시간) 일본에 통보한 상호관세율은 25%로 지난 4월 발표된 종전 수치(24%)보다 1% 상향 조정됐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이번 서한 발송 대상 14개국 가운데 일본과 말레이시아만 관세율이 올랐습니다.

나머지 국가는 한국(25%)처럼 종전과 같거나 하향 조정됐습니다.

일본 언론에서는 대항 조치 검토까지 주문하고 나섰습니다.

보수 성향의 요미우리신문은 사설에서 "미일 동맹의 중요성은 높아지는데 일본에 고관세를 들이대는 방식은 너무 난폭하다"며 "미국이 고관세 정책을 변경하지 않는다면 일본은 대항 조치를 선택지에서 배제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면서 "서한을 받은 다른 아시아 나라들과 공조해 고관세 정책의 재검토를 촉구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덧붙였습니다.

진보성향 매체인 아사히신문은 "안이하게 타협하지 말고 고관세 철회를 계속 요구하기 바란다"고 일본 정부에 주문했습니다.

이 신문은 "동맹관계를 경시한 미국의 자세는 매우 유감스럽다"며 "협상의 장기화도 응시하면서 흔들림 없이 설득을 계속할 수밖에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면서 일본이 미국의 최대 투자국인 점 등을 근거로 특별 대우를 요구해온 전략을 재고할 필요가 있다며 다른 아시아나 유럽 국가들과의 공조 강화를 대안으로 제시했습니다.

언론뿐 아니라 여당인 자민당에서도 강한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오노데라 이쓰노리 자민당 정무조사회장은 어제(8일) 당 회의에서 "받아들일 수 있는 내용이 아니다"라며 "편지 1장으로 통고하는 것은 동맹국에 매우 예의 없는 행위로, 강한 분노를 느낀다"고 말했습니다.

일본 정부는 일단 추가 협상에 적극 임할 방침입니다.

일본 측 협상 대표인 아카자와 경제재생상은 어제(8일) 스콧 베선트 재무부 장관과 전화로 관세 문제를 협의했습니다.

일본 정부는 "양측은 미국의 관세 조치 서한이 전달된 점에 입각해 다시 솔직하고 깊이 있는 논의를 벌이는 것과 동시에 미일 협상을 정력적으로 계속하기로 했다"고 전했습니다.

아카자와 경제재생상은 지난달 7차 협상 때 베선트 장관을 만나려고 체류 일정을 늘리기까지 했으나 결국 면담에 실패한 바 있습니다.

이시바 시게루 총리도 어제(8일) 상호관세율이 25%로 상향 조정된 데 대해 "유감"이라면서도 우선 합의점을 찾기 위한 협상을 계속해갈 방침을 밝혔습니다.

그는 "일본의 대응에 따라 내용을 바꿀 수 있다고 한다"며 8월 1일이 새로운 협상 기한임을 설명했습니다.

그는 취재진을 상대로 "일본 정부로서는 안이한 타협은 피할 것"이라며 "요구할 것은 요구하고 지켜야 할 것은 지키는 것으로 전력을 다해 협상에 임하고 있다"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이시바 총리는 미일 관세협상이 난항을 보이면서 오는 20일 참의원 선거를 앞두고 책임론까지 제기되는 어려운 지경에 몰려있습니다.

일본에서는 25%의 상호관세와 협상 타결 지연이 일본 경제에 큰 악재가 될 것이라는 관측이 잇따라 나오고 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