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신안산선 붕괴 후 41일…"아직도 보상 막막"

<앵커>

지난달 경기도 광명시 신안산선 공사현장이 무너진 지 40여 일이 지났습니다. 사고 현장은 아직도 당시 모습 그대로인데요. 참다못한 피해주민들이 국회를 찾아가 신속한 안전대책 마련과 피해보상을 요구했습니다.

최호원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달 11일 신안산선 공사 도중에 일어난 지하터널 붕괴 현장입니다.

사고 이후 40일이 넘게 지났지만, 아직도 당시 모습 그대로입니다.

무너진 도로 상판에는 파란 임시천이 씌워져 있고, 지하터널 철골들은 여기저기 부러져 있습니다.

대형 굴착기도 위태롭게 걸려 있습니다.

사고 이후 20대 노동자는 어렵게 구조됐지만, 50대 노동자는 결국 숨진 채 발견됐습니다.

경기도 광명시 구석말 주민 21세대 55명은 주거지를 떠나 한 달 넘게 임시숙소에 머물고 있습니다.

사고 현장 주변의 식당과 주유소 등 사업장 17곳도 영업 피해가 심각한 상황입니다.

주민들은 국회로 달려가 대책 마련을 호소했습니다.

[이병식/광명 구석말 상가부위원장 : 구석말 주민들은 더 이상 방치될 수 없습니다. 사고로부터 한 달이 지난 지금 책임은 떠넘겨지고, 대책은 요원합니다.]

[허정호/광명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사무처장 : 이번 사고는 붕괴 위험이 예고됐음에도 노동자가 사망한 인재입니다. 한 달이 지났음에도 국토부의 공식적인 사과와 입장 표명이 없습니다.]

광명시는 이번 사고를 계기로 전국 단위로 지하사고 안전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박승원/광명시장 : 신안산선 공사현장 붕괴참사는 대한민국 곳곳을 지속해서 위협하고 있는 각종 지하사고에 대해 깊이 성찰하고, 아울러 최선의 대책을 신속히 마련해야 한다는 점을 깨달을 기회입니다.]

지난 15일에는 광명, 안산, 화성, 안양, 시흥 등 5개 지자체 시장들이 한자리에 모여 신안산선 전구간에 대한 정밀안전진단 실시 등을 요구하는 '공동건의문'을 발표하기도 했습니다.

국토교통부는 다음 달 16일까지 사고조사위원회를 운영한 뒤 시행사 측과 함께 피해보상 방안과 안전대책 등을 논의할 예정입니다.

(영상취재 : 설치환, 화면제공 : 광명시청·안산시청)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