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샤넬 패션쇼
전 세계 명품 시장이 둔화한 가운데 프랑스 명품 업체 샤넬의 지난해 영업이익이 전년보다 30% 급감했습니다.
20일(현지시간) AFP·블룸버그 통신과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샤넬은 지난해 매출액이 187억 달러(26조1천억 원)로 전년보다 4.3% 감소하고, 영업이익은 45억 달러(6조3천억 원)로 30% 줄었다고 밝혔습니다.
순이익은 28% 감소한 34억 달러(4조7천억 원)로 집계됐습니다.
샤넬의 연간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동시에 감소한 것은 코로나19 팬데믹으로 매장 문을 닫았던 2020년 이후 처음입니다.
중국을 포함한 아시아 지역 매출이 92억 달러(12조8천억 원)로 전년보다 7.1% 줄면서 전체 매출 감소를 이끌었습니다.
중국 쇼핑객들이 고가 제품 구매에 고삐를 죄는 등 명품시장이 둔화하는 상황입니다.
리나 네어 샤넬 최고경영자(CEO)는 성명에서 "어려운 거시경제 환경이 일부 시장의 매출에 영향을 미쳤다"고 말했습니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발 관세 혼란 이전의 실적으로, 올해도 시장 환경은 녹록지 않습니다.
그러나 샤넬은 지난해 18억 달러(약 2조5천억 원)에 달했던 자본지출 규모를 유지한다는 방침입니다.
지난해 자본지출은 2023년보다 43% 증가한 수준이었습니다.
샤넬은 올해 48개 매장을 늘릴 계획입니다.
그중 절반 가까이는 미국과 중국에 열고 멕시코, 인도, 캐나다에도 냅니다.
샤넬은 최근 수년간 가파르게 가격 인상을 해왔습니다.
HSBC 은행 분석가들에 따르면 샤넬 클래식 플랩백 가격은 2019년 이후 두 배 이상으로 올라 1만 유로(약 1천560만 원)에 달합니다.
이는 명품 평균 가격 상승률 50%보다 높습니다.
이에 대해 필립 블롱디오 최고재무책임자(CFO)는 가격 인상이 매출 감소로 이어진 것은 아니라고 반박했습니다.
그는 지난해 샤넬의 패션 제품 평균 가격 인상률은 약 3%로, 올해도 물가상승률에 따라 인상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