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젠슨 황 CEO "타이완에 슈퍼컴퓨터 구축…신사옥 이름은 '별자리'"

19일 대만 타이베이에서 열린 '컴퓨텍스 2025' 전시회에서 엔비디아의 젠슨 황 사장 겸 CEO가 연설하고 있다.(사진=AP, 연합뉴스)
▲ 19일 타이완 타이베이에서 열린 '컴퓨텍스 2025' 전시회에서 엔비디아의 젠슨 황 사장 겸 CEO가 연설하고 있다.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19일 타이완에 슈퍼컴퓨터를 구축한다고 공식 발표함과 동시에 엔비디아 타이완 신사옥 설립지를 깜짝 공개했습니다.

미국 중심의 인공지능(AI) 팩토리 모델을 동아시아로 확장하는 동시에, AI 주권을 타이완으로 가져오겠다는 의지로 풀이됩니다.

황 CEO는 이날 오전 타이완 타이베이 뮤직센터에서 열린 '컴퓨텍스 2025' 기조연설에서 "폭스콘, 대만 정부, TSMC와 함께 대만 최초의 대형 AI 슈퍼컴퓨터를 구축할 것"이라며 "이는 타이완의 AI 인프라와 생태계를 위한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타이완이 그동안 세계를 위한 슈퍼컴퓨터를 만드는 곳이었다면, 이제는 타이완을 위한 AI도 만들겠다는 게 황 CEO의 구상입니다.

슈퍼컴퓨터 구축은 단순히 컴퓨터 한 대를 설치하는 게 아닌, 과학·기술·산업·안보 역량을 구조적으로 끌어올리는 국가 단위 프로젝트를 의미합니다.

이번 'AI 슈퍼컴퓨터 인프라 구축'에는 엔비디아와 폭스콘, TSMC 그리고 타이완의 국가과학기술위원회(NSTC) 등 정부와 기업이 모두 참가합니다.

칩부터 패키징, 서버, 통합까지 모두 현지화한다는 전략입니다.

황 CEO는 "TSMC는 이미 막대한 양의 과학 및 AI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폭스콘은 로보틱스 분야에서 대규모 연구를 진행 중"이라며 "타이완 현지에서 세계적 수준의 AI 인프라를 갖춘다는 것은 매우 중요하며 이것은 교육, 과학, 기술 발전을 가능하게 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19일 타이베이서 열린 '컴퓨텍스 2025'에서 기조연설 하는 젠슨 황 엔비디아 CEO(사진=AP, 연합뉴스)

발표 종료 직전 황 CEO는 영상 하나를 소개한 다음, 지난해 언급했던 엔비디아 타이완 신사옥의 부지를 발표했습니다.

영상에는 신사옥 건물이 우주를 유영한 뒤 대만 본토에 안착하는 내용이 담겼습니다.

황 CEO는 "새로운 제품을 하나 더 소개하겠다"며 "이제 우리가 만든 가장 큰 제품 중 하나를 공개할 때가 됐다. (그 제품은) 밖에 주차돼 우리를 기다리고 있다"고 했습니다.

그러면서 "여러분(타이완)과 파트너십이 계속 확장되고 있고, 엔지니어 수도 꾸준히 증가 중이어서 기존 오피스로는 더 이상 감당할 수 없게 돼 새로운 엔비디아 타이완 사옥을 짓기로 했다"며 "그 이름은 바로 '엔비디아 콘스텔레이션(별자리)'이며 부지는 베이터우(北投) 지역으로 곧 착공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황 CEO가 신사옥의 이름을 '콘스텔레이션'으로 명명한 데는, 단순한 건물이 아닌 우주 속 별자리처럼 다양한 기술과 인재들이 모여 하나의 거대한 생태계를 이룰 것이라는 뜻으로 해석됩니다.

특히 이곳에 엔비디아의 기술과 파트너, 인재들이 AI와 로보틱스 산업의 중심이 되는 허브를 구축한다는 비전입니다.

신사옥은 AI 칩 설계, 로보틱스, 양자 컴퓨팅 등 핵심 기술을 개발하는 연구소도 포함하고 있으며, 미국 실리콘밸리 본사(약 1만 5천 평 규모)에 맞먹는 규모로 설립될 전망입니다.

앞서 황 CEO는 작년 컴퓨텍스 행사에서 "향후 5년 내 타이완에 대규모 R&D·디자인(설계)센터를 건립해 최소 1천여 명의 엔지니어를 고용하겠다"며 "센터 건립을 위해 대규모 부지를 물색 중"이라고 밝힌 바 있습니다.

엔비디아는 신사옥을 통해 TSMC, 폭스콘, 에이수스, 미디어텍, 콴타 등 지리적으로 가까운 타이완의 주요 업체들과 협력 관계가 더 밀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사진=AP,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