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5·18기념재단 "기념식에 총 든 군인 유감"…보훈부 "경호 인력"

18일 오전 광주 북구 운정동 국립 5·18민주묘지에서 제45주년 5·18민주화운동 기념식이 열리고 있다.
▲ 18일 오전 광주 북구 운정동 국립 5·18민주묘지에서 제45주년 5·18민주화운동 기념식이 열리고 있다.

5·18기념재단이 오늘(18일) 제45주년 5·18 민주화운동 기념식 직후 "기념식에 상당한 문제가 있었다"고 밝혔습니다.

재단은 "5·18은 계엄군의 살인 진압에 맞서 죽음으로 민주주의를 지켜낸 사건"이라며, "묵념 시간에 군인을 위한 묵념곡이 사용되고, 헌화를 제복을 입은 군경이 돕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올해 기념식은 과거와 크게 다르지 않은 방식으로 진행됐지만, 12·3 비상계엄 사태를 계기로 이러한 문제의식을 갖게 됐다고 설명했습니다.

또한 재단은 "기념식 무대 좌우에 무장 군인이 배치됐는데, 복장이 비상계엄 시기 국회에 투입된 계엄군과 유사했다"며 "5·18 가해자인 군인이 무기를 들고 서 있는 기념식을 누가, 왜 준비했는지 묻고 싶다"고 비판했습니다.

이주호 대통령 권한대행 겸 교육부 장관의 기념사 내용에 대해서도 "5·18 헌법 전문 수록 등 현안을 해결하기 위한 어떤 언급도 없었다"며 "이 같은 이유로 강력한 유감을 표명한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대해 국가보훈부는 설명자료를 통해 재단이 지적한 '무장 군인'은 행사에 참석한 이주호 권한대행 등 주요 인사를 경호하기 위한 인력이며, 경호 수준은 예년과 다르지 않았다고 밝혔습니다.

또 행사에서 사용된 묵념곡은 "정부의전편람에 명시된 곡으로, 모든 정부 기념식의 국민의례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 5년간의 5·18 기념식에서도 쓰였다"고 설명했습니다.

이날 헌화를 도운 인력에 대해서는 "보훈부 소속 국립임실호국원 의전단이 맡았으며, 군인이나 경찰이 아닌 민간인"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