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대선 Pick
펼쳐보기

작년 5대 그룹 매출 1천25조 원…GDP의 40%

작년 5대 그룹 매출 1천25조 원…GDP의 40%
▲ 대기업이 밀집한 서울 도심

지난해 5대 그룹의 매출이 국내총생산(GDP)의 40%를 차지하는 등 대기업 집단의 매출이 우리나라 경제 규모의 80% 수준에 육박한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6일 관가 등에 따르면 공정거래위원회가 최근 지정한 공시대상기업집단(이하 대기업·자산 5조 원 이상) 92곳이 지난해 올린 매출은 2천7조 7천억 원으로 집계됐습니다.

한국은행이 발표한 지난해 명목 GDP(2천549조 1천억 원)의 78.8%에 달하는 규모입니다.

이 가운데 '상위 대기업'이라고 불리는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자산 11조 6천억 원 이상) 46곳이 올린 매출액은 1천833조 1천억 원으로 GDP 대비 71.9% 수준입니다.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은 대기업 중 자산 기준으로 상위 50%이고 매출은 91.3%를 차지했습니다.

대기업에서도 상위 업체들의 집중도가 압도적이라는 의미입니다.

기업 매출은 해외 발생분도 포함하기 때문에 GDP와는 범주가 완전히 일치하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특정 기간의 산출량을 나타낸다는 공통점을 감안하면 대기업 편중 정도를 따져볼 수 있습니다.

재계 1위인 삼성그룹의 지난해 매출액은 공정위 기준으로 331조 8천억 원입니다.

삼성그룹 한 곳의 매출이 우리나라 GDP의 13.0%에 달한다는 뜻입니다.

다음은 현대자동차그룹(279조 8천억 원·11.0%), SK(205조 9천억 원·8.1%) 순이었습니다.

삼성·SK·현대자동차·LG·롯데 등 상위 5대 그룹의 매출액은 1천25조 원으로 지난해 한국 경제 생산의 약 40%에 달했습니다.

GDP 대비 대기업집단 매출액 비중은 2018년 70.9%에서 2019년 68.7%, 2020년 65.3%로 점차 떨어졌습니다.

그러다가 코로나19 팬데믹을 계기로 위기 대응력이 높은 대기업들의 매출이 크게 상승하면서 이 비율은 2021년 73.5%, 2022년 85.2%까지 뛰었습니다.

GDP 대비 대기업 매출액은 2023년 79.4%, 2024년 78.8%로 코로나19 때보다 낮아진 바 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