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과실연 "정치가 과학 흔들지 말아야…부총리제 도입 등 필요"

과실연 "정치가 과학 흔들지 말아야…부총리제 도입 등 필요"
과학기술 시민단체가 '과학부총리', 'AI 디지털혁신부' 신설 등 과학기술 분야 10개 어젠다와 인공지능 분야 11개 어젠다 등 새 정부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안했습니다.

바른과학기술사회실현을위한국민연합(과실연)은 오늘(30일) 서울 강남구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미디어데이를 열고 이 같은 어젠다를 발표했습니다.

과실연은 과학기술인들을 중심으로 이뤄진 국내 과학기술인 시민단체로 하정우 네이버클라우드 AI이노베이션 센터장 등이 공동대표를 맡고 있습니다.

먼저 과실연은 새 정부가 추진해야 할 과학기술 10대 어젠다로 1) 정치와 과학기술 관계의 선진화 2) 과학기술 행정 및 거버넌스 혁신 3) 100년을 내다본 R&D 투자 4) 과학기술 소통 및 대중 참여 5) 이공계 인재 육성 및 관리 6) 과학기술 정책의 과학화 7) 과학기술 규제혁신 선진화 8) 출연(연)·대학 R&D 재구조화 9) R&D 실용화 및 창업 연계 10) 국가복원력 강화를 제시했습니다.
과학기술 사회 실현을 위한 국민연합, 과학기술, 인공지능 미디어 데이
과실연은 특히 "정치가 과학을 흔들지 말아야"한다며 과학기술 기관장의 임기 독립성 보장과 정책 감사제도 폐지를 촉구했습니다.

그러면서 과학기술의 행정 체계 강화를 위해 부총리제 도입과 각 부처와 지자체에 과학자문관 제도를 도입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현재 R&D 예산도 과학기술혁신본부가 편성하고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가 심의한 예산안을 기획재정부에서 재조정하는데 부처 간 협업이 원활하지 않은 점을 지적했습니다.

과실연은 과기부 장관의 '부총리 격상'으로 상위 거버넌스를 구축해 좀 더 전략적인 투자를 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이와 더불어 과학기술 전담 상임위를 설치하는 방안도 같이 제시했습니다.

R&D 사업에 관해서도 단기성과 중심, 관료적 절차로 대형, 장기 R&D 프로젝트가 위축된다고 봤습니다.

그 해답으로 예비타당성조사 완전 폐지, 부처 자율 책임 예산제 도입, 프로그램 예산 편성 등을 내놓았습니다.

또 R&D 실용화와 창업을 연계하기 위한 '세종-장영실 이니셔티브' 추진, 국가 실증 자유구역 조성, 기술기반 창업가 양성 전략이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AI 분야에선 5대 분야 11대 과제를 제시했습니다.

그 핵심으론 AI 전담부처 신설을 포함한 국가 AI 거버넌스 체계 개편과 2030년까지 AI칩(GPU) 50만 장 확보, 인공지능(AGI) 전용 연구소 설립 등을 주장했습니다.

(사진=과실연 제공,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