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중국에 대한 관세 폭탄은 대부분의 미국 기업에 치명적인 영향을 주고 있으며, 무역 전쟁이 길어지면 피해는 되돌릴 수 없을 것으로 전문가들은 경고하고 있다고 CNBC 방송이 13일(현지시간) 진단했습니다.
공급망 전문가들은 미·중 간 무역 전쟁으로 최근 미국 기업들이 컨테이너 수출을 전면 중단하고 있으며, 중국발 화물 주문 취소와 함께 선적한 화물이 방치되는 일이 일상화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글로벌 공급망 시장 분석 및 자문 서비스 기업인 시-인텔리전스(Sea-Intelligence) 앨런 머피 최고경영자(CEO)는 "미국 수입업체들이 중국산 가구 주문을 전면 중단했고, 장난감과 의류, 신발, 스포츠용품도 마찬가지"라고 말했습니다.
미 물류기업 세코 로지스틱스 최고운영책임자(CCO) 브라이언 보크도 "동남아에서도 유사한 상황이 있었지만 90일 유예 조치 이후 회복세를 보였다"며 "중국산 제품은 여전히 취소가 지속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이에 미·중간 교역은 사실상 멈춰 섰습니다.
해상 운송업체 OL USA의 앨런 베어 CEO는 "중국 관련된 비즈니스는 거의 모두 중단된 상태"라고 말했습니다.
세금 정책에 대한 싱크탱크인 택스파운데이션의 경제학자 에리카 요크는 "트럼프 대통령의 (중국 제품에 대한) 145% 관세는 대부분의 미·중 무역을 중단시킬 수 있다"며 "대체재가 없는 일부 제품은 비용을 감수하고 수입하겠지만, 대부분은 사실상 차단된다"고 전망했습니다.
일부 기업들은 높은 관세를 피해 이미 베트남이나 인도 등으로 생산 기지를 이전하거나,재고는 유럽으로 가격을 낮춰 파는가 하면 생산 라인 가동 자체를 아예 중단하는 방안도 검토 중입니다.
그러나 시-인텔리전스 머피 CEO는 "기술력이 필요한 제품들은 생산 이전이 쉽지 않고, 미국 내 생산으로 전환도 거의 고려되지 않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또 "트럼프 행정부의 목표가 불확실하기 때문에 기업들이 미국 내 대규모 투자를 꺼리고 있다"며 "단순히 협상용이면 투자는 불가능하다"고 지적했습니다.
특히, 145%에 달하는 관세로 중소기업이 직격탄을 맞고 있습니다.
미국 의류·신발 협회(AAFA)의 CEO 스티븐 라마르는 "높은 관세와 갑작스러운 정책 변화가 코로나19 이후 가장 심각한 공급망 혼란을 초래하고 있다"며 "관세가 너무 높아 기업들은 주문을 취소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비용은 중소기업이 감당할 수 없는 위험이 되고 있다"며 "대체 공급망이 없는 중소기업들은 즉각적인 매출 손실과 품절 사태로 이어지고 있다"고 분위기를 전했습니다.
운임을 지급하지 않거나 통관 지연으로 방치된 해상 및 항공 화물도 갈수록 늘어나고 있습니다.
뉴욕 항만 규정에 따르면 30일 이상 방치된 화물은 '유기 화물'로 간주해 경매나 처분 대상이 된다고 CNBC 방송은 전했습니다.
(사진=AP,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