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서부고용센터에 게시된 국민취업 지원제도 안내판
지난달 취업자 수가 약 20만 명 증가했습니다.
다만 제조업과 건설업 취업자는 급감했고, 청년층 고용부진도 계속됐습니다.
9일 통계청이 발표한 '3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15세 이상 취업자는 2천 858만 9천 명으로, 작년 같은 달과 비교해 19만 3천 명 증가했습니다.
취업자 수는 지난해 12월 일자리사업 일시종료 등의 영향으로 5만 2천 명 감소했다가 올해 1월 13만 5천 명 늘어난 뒤 3월까지 3개월째 10만 명대 증가세를 유지했습니다.
산업별로는 제조업과 건설업의 고용 위축이 계속됐습니다.
건설업 취업자는 작년 동월보다 18만 5천 명 급감하면서 2013년 관계통계 집계 이후로 최대 감소폭을 나타냈습니다.
11개월 마이너스를 이어가는 최장기간 감소세입니다.
제조업 취업자도 작년 동월보다 11만 2천 명 줄어, 코로나19 팬데믹 기간인 2020년 11월(-11만 3천 명) 이후 4년 4개월 만에 최대 감소 폭을 기록했습니다.
9개월 연속 감소세입니다.
취업자 규모가 400만 명을 넘는 제조업은 우리나라 고용시장을 지탱하는 산업입니다.
올해 들어 수출 증가세가 둔화하는 상황에서 트럼프발(發) '관세 충격'까지 이어진다면 제조업 일자리 한파가 더 혹독해질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옵니다.
반면 보건·사회복지서비스업(21만 2천 명), 공공행정·국방 및 사회보장행정(8만 7천 명), 금융·보험업(6만 5천 명) 등에서는 취업자가 증가했습니다.
실업자는 작년 같은 달보다 2만 6천 명 증가한 91만 8천 명으로 집계됐습니다.
지난달 비경제활동인구는 1천620만 1천 명으로 작년 동월보다 4만 명 감소했습니다.
그중에서 쉬었음 인구는 7만 1천 명 늘었습니다.
특히 청년층 쉬었음 인구가 1년 전보다 5만 2천 명 늘어난 45만 5천 명으로 집계됐습니다.
2003년 관련 통계 집계 이래 3월 기준 가장 큰 규모입니다.
(사진=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