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8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미국 관세 부과에 따른 분야별 영향 점검을 논의하기 위해 열린 경제관계장관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오늘(8일) "다음 주 초 10조 원 규모의 추경안을 발표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최 부총리는 오늘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주재한 경제관계장관 간담회 모두발언에서 "구체적인 추경의 내용은 이번 주 관계 부처 협의 등을 거쳐 확정할 예정"이라며 이같이 밝혔습니다.
앞서 정부가 ▲ 통상 및 인공지능(AI) 경쟁력 강화 ▲ 민생 지원 ▲ 재난·재해 대응 등을 중심으로 제안한 '10조 원 필수 추경'의 세부 내역을 제시하겠다는 의미입니다.
개략적으로는 통상 대응 및 AI경쟁력 강화에 3조∼4조 원, 서민·소상공인 지원에 3조∼4조 원을 각각 투입하겠다는 복안입니다.
최 부총리는 "관세 피해 중소기업 등에 대한 '관세 대응 및 수출 바우처'를 대폭 확대하고, 긴급경영안정자금 등 정책금융도 추가 공급하겠다"며 "핵심 품목의 공급망 안정을 위해 첨단 산업 소재·부품·장비 투자보조금을 신설하고, 유턴·외투 기업 투자보조금도 확충하겠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와 함께, 올해 중으로 고성능 그래픽처리장치(GPU)를 1만 장 이상 추가 확보하고, AI 분야 석학급 인재 등 최고급 인재 확보도 적극 뒷받침하겠다는 방침입니다.
서만·소상공인 지원과 관련해선 "영세 소상공인에 대한 저금리 정책자금을 확대하고, 서민·취약계층의 소비 여력 확충을 위한 사업도 최대한 발굴하겠다"고 설명했습니다.
재난·재해 대응으로는 "산불 감시용 드론 확충, 고성능 헬기 추가 도입, 산불 예방·진화 체계 고도화 등을 지원하겠다"고 덧붙였습니다.
최 부총리는 "예상을 훨씬 뛰어넘는 미국의 상호관세 발표로 인해 우리 산업과 기업에 심각한 피해가 우려되고, 무역 전쟁 우려로 글로벌 증시의 변동성이 크게 확대됐고 우리 금융·외환시장도 영향을 받고 있다"고 우려했습니다.
그러면서 "이제 더 이상 위기 대응을 늦출 수 없다"며 "우리 산업과 기업을 살릴 골든타임을 놓치지 않도록 국회의 조속한 논의와 처리를 간곡히 당부드린다"고 강조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