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6일(현지 시간) 외국산 자동차에 대한 25%의 관세 부과를 공식화하자 관련국들이 대응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습니다.
다음 달 3일부터 적용될 새 관세는 모든 외국산 자동차와 핵심 부품이 대상이지만, 실제로는 유럽과 캐나다, 한국, 일본, 멕시코를 겨냥한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습니다.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유럽연합 집행위원장은 성명을 통해 "미국이 유럽 자동차 수출 제품에 관세를 부과하기로 한 결정에 심히 유감"이라고 밝혔습니다.
폰데라이엔 위원장은 이어 "EU는 경제적 이익을 보호하는 동시에 협상을 통한 해결책을 계속 모색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유렵연합은 트럼프 행정부가 외국산 철강·알루미늄 제품에 25% 관세를 부과한 데 대응해 다음 달부터 두 단계에 걸쳐 총 260억 유로, 약 41조 원 상당의 미국산 상품에 보복 관세를 매기겠다고 예고한 바 있으나, 시행을 연기한 상태입니다.
캐나다는 보복 관세로 맞대응하는 방안을 고려 중입니다.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는 미국의 자동차 관세 부과를 "직접적인 공격"이라고 지칭하며 캐나다의 이익을 위한 대응 조치에 나서겠다고 말했다고 로이터통신이 보도했습니다.
캐나다 제조업에서 자동차 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10%에 이르며 생산한 자동차와 부품의 80∼90%가 미국 등으로 수출되고 있습니다.
일본도 대응 방안 마련에 고심하고 있습니다.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는 오늘 이날 참의원 예산위원회에서 "모든 선택지가 당연히 검토 대상"이라면서 "25% 관세를 일본에 적용하지 않도록 강력히 요청하고 있다"고 답했습니다.
(사진=AP,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