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이 25일 발표한 '2024 글로벌 한류 트렌드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아시아와 유럽, 중남미의 한류 콘텐츠 관련 보도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 분야는 K팝이었습니다.
아시아에선 35.4%를 차지했고 유럽 25.1%, 중남미 34.9%를 기록했습니다.
아시아에선 BTS와 블랙핑크에 관한 보도가 주를 이뤘고, 유럽에선 K팝 가수들에 대한 차트 기록이 집중 보도됐습니다.
중남미는 한국 아이돌 방문과 월드투어 소식이 주로 다뤄졌습니다.
북미에선 한식이 26.7%를 기록하며 K팝(23.5%)을 3.2%포인트 앞질렀습니다.
특히 미국과 캐나다에서 김치 관련 보도와 불닭볶음면 유행 소식 등 한식 관련 검색량과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언급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아프리카와 오세아니아도 한식의 비중이 각각 38.0%, 30.0%를 차지했고, K팝 비중은 22.6%, 26.7%에 그쳤습니다.
이들 대륙에선 주로 한식 레스토랑 개점 소식이 많이 보도됐습니다.

국가별로는 인도(905건), 미국(769건), 태국(461건), 튀르키예(301건), 필리핀(273건) 순으로 한류 관련 보도가 많았습니다.
인도(41.0%), 태국(37.5%), 필리핀(32.6%)에선 K팝 비중이 가장 높았고 미국에선 한식(27.0%), 튀르키예에선 한국 드라마(29.6%)가 가장 큰 관심을 받았습니다.
한국 영화와 드라마도 여러 국가에서 고루 관심을 받은 것으로 조사됐다. 영화 '파묘', '베테랑2', '범죄도시4', '콘크리트 유토피아'와 드라마 '오징어게임2', '눈물의 여왕', '선재 업고 튀어' 등이 많이 언급됐습니다.
지난해 파리올림픽에서 역대 최대 규모로 운영된 '코리아하우스'가 한국의 문화를 해외에 알리는 복합 문화공간 역할을 톡톡히 수행한 것으로도 조사됐습니다.
외신과 SNS에서 BTS 멤버 진의 성화봉송과 '코리아 시즌 2024' 개최, 응원봉 활용 단체 응원전 등이 높은 호응을 얻은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이번 조사는 문체부와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이 2023년 10월부터 2024년 9월까지 보도된 전 세계 30여 개국 외신 기사와 SNS 등 한류 관련 자료 약 68만 건을 수집, 분석하는 방식으로 이뤄졌습니다.
채수희 문체부 해외홍보정책관은 "문체부의 해외 미디어 분석 역량을 집약해 이번 보고서를 만들었다"며 "국가별, 대륙별 맞춤형 한류 정책과 사업 전략 수립에 기여할 수 있는 다양한 분석 자료를 적기에 제공하도록 노력하겠다"고 전했습니다.
(사진=문화체육관광부 제공,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