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호세 마누엘 알바레스 스페인 외무장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기 취임 후 안보·경제 사안에서 오랜 동맹인 유럽을 무시하고 있는 가운데 스페인이 유럽연합(EU)이 미국에 따라가지 말고 독자적인 대중국 정책을 펼쳐야 한다는 목소리를 냈습니다.
호세 마누엘 알바레스 스페인 외무장관은 24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 인터뷰에서 "유럽은 중국이 언제 파트너가 될 수 있고 언제 경쟁자가 될 수 있는지를 판단해야 한다"라며 "내가 당연한 동맹이라고 생각하는 미국과 물론 대화를 할 수 있지만 유럽은 스스로 판단을 내려야 한다"라고 밝혔습니다.
알바레스 장관은 중국이 "파트너가 될 수 있다면 이를 활용하고, 우리가 경쟁자가 된다면 우리의 시민과 산업을 보호해야 한다"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인구와 규모 측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의 상임이사국이라는 점에서 중국이 기후 변화와 같은 중요한 문제에 있어 필수적이라는 것을 잊으면 안 된다"라며 "따라서 관계가 필요하다"라고 덧붙였습니다.
트럼프 행정부는 최근 우크라이나 종전 협상을 당사자인 우크라이나를 배제한 채 러시아와 양자회담으로 진행했습니다.
협상에서는 유럽 동맹국들도 제외됐습니다.
또, 트럼프 행정부는 동맹국들을 상대로 관세 카드를 꺼내 드는 등 무역전쟁까지 현실화하고 있습니다.
대중국 정책과 관련해서는 미국은 트럼프 1기 때는 물론이고 조 바이든 행정부에서조차 유럽에 더 매파적인 입장을 취하라고 압박했습니다.
현재 EU 27개 회원국 사이에 단일한 대중국 입장은 없으며 현재 자국의 상황에 따라 의견이 엇갈립니다.
일부 회원국은 미국을 고려해 중국에 매파적 입장을 취할 것을 제안했으나 또 다른 회원국들은 중국과의 경제 관계가 악화할까 경계하는 상황이라고 FT는 전했습니다.
한 예로 작년 10월 말 EU가 중국산 전기차에 대해 최고 45% 관세율을 적용하려 했을 때 독일과 스페인은 부정적인 입장을 보습니다.
결국 해당 법안 표결에서 스페인은 기권하고 독일과 헝가리는 반대표를 던졌습니다.
이런 가운데 스페인에서 먼저 미국과는 별개의 대중국 정책 가능성을 공개적으로 언급하고 나선 겁니다.
앞서 페드로 산체스 스페인 총리는 2023년과 작년에 연이어 중국을 방문해 중국 기업의 스페인 투자를 적극적으로 유치하려 했습니다.
그 덕분에 세계 최대 전기차 배터리 생산업체인 중국 CATL이 다국적 완성차 업체 스텔란티스와 함께 스페인 사라고사에 대규모 전기차 배터리 공장을 세우기로 했고, 중국의 엔비전 그룹 소속인 배터리 기업 AESC도 스페인 카세레스에 공장 건설을 계획 중입니다.
또 다른 스페인 고위 당국자는 자국이 미국과 중국 사이에서 "한쪽을 선택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나 다른 EU 국가에서는 스페인 정부의 이 같은 입장이 다른 회원국보다 중국을 철저히 따져보지 않은 채 내린 성급한 결론이라고 우려하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사진=AP,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