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월요일 친절한 경제 시간입니다. 오늘(24일)도 한지연 기자 나와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안녕하세요.) 오늘은 부동산 이야기를 가지고 나오셨는데요. 서울 아파트를 서울에 살지 않는 외지인이 매입하는 비중이 역대 최고라고요?
<기자>
지난해 서울 아파트를 산 사람 중에 서울 외 거주자가 21.5%를 차지했는데요.
5명 중 1명 이상이 외지인이라는 얘기죠.
2006년 관련 조사가 시작된 이래 연간 기준으로 역대 최고입니다.
그전에는 어느 정도 수준이었냐면, 2006년 17.8%를 기록한 이후 10년간 17~18%대로 유지를 하다가, 2017년에 19.9%로 늘어난 뒤에 2021년에 20%로 올라섰고요.
아파트 값이 급락하면서 거래절벽이 심했던 2022년에는 18.7%로 주춤하다가, 2023년에 다시 20.9%로 20%대를 회복했습니다.
지역별로는 어디가 높을 걸로 예상이 되시나요?
아파트 값이 높은 강남보다 중고가 지역에서 매수 증가 폭이 컸습니다.
강동구가 27.3%에 달했는데요. 재작년 22.3%였던 게 5% 포인트나 급증하면서 2006년 조사 이래 역대 최대를 기록했습니다.
또 광진구와 은평구도 25%대를 기록하면서 높은 비중을 보였고, 다음으로 금천구, 영등포구, 용산구, 마포구 송파구, 서대문구도 서울 평균을 웃돌았습니다.
하지만 아파트값이 비싼 강남구와 서초구는 전년도보다 감소했는데, 지난해 '똘똘한 한 채' 열풍에 강남권 아파트 값이 급등을 했었는데, 가격 부담이 커지자 상대적으로 외지인의 매입 비중은 감소하고 강남 쪽에서는 서울 시내 거주자의 매수가 늘었습니다.
<앵커>
이렇게 외지인들의 서울 아파트에 대한 관심이 해마다 늘었다 줄었다 하는 것 같은데 이번에는 왜 이렇게 관심이 커진 걸까요?
<기자>
그냥 한마디로 표현하자면 "아파트는 역시 서울이지"라는 심리와 다주택자 규제 정책이 서울 아파트 수요를 키웠다고 보면 되겠습니다.
몇 년 동안 금리 인상이 있어 왔잖아요.
이 때문에 아파트 값이 떨어지면서 이후 전세 사기 많이 발생하면서 빌라 기피 현상 생겼죠.
그러면서 일종의 안전자산이라고 여겨지는 서울 아파트로 매수가 몰린 것으로 분석됩니다.
또 다주택자 규제로 주택시장이 실수요자 위주가 됐잖아요.
그러면서 2023년, 24년 나왔던 정책대출을 이용해서 서울 아파트 입성을 노린 내 집 마련 수요와 갈아타기 수요가 증가한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면 반대는 어떨까요?
지난해 서울 거주자의 지방 아파트 원정 매입 비중은 5.5%로 2023년보다는 소폭 증가했지만, 7~8%대에 이르던 예년보다는 낮은 수준을 유지했는데요.
다주택자 규제와 고금리 등의 여파로 전반적인 지방투자수요가 감소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앵커>
지난해 강남 3구는 이렇게 똘똘한 한채 열풍으로 아파트값이 올랐었는데 여기에 최근 토지 거래 허가구역이 해제되고 난 뒤에 더 급등할 조짐이 있다고요?
<기자>
토지 거래 허가구역이 해제된 12일부터 20일까지 서초, 송파, 강남, 강남 3구 아파트 평균 가격이 24억 5천139만 원으로 지금 나타났는데요.
1일부터 11일보다 8% 오른 가격입니다.
같은 기간 강남 3구를 제외한 나머지 22개 구의 평균 거래 가격은 9억 1천859만 원으로 2.6% 하락했습니다.
이달 기준, 그러니까 1일부터 20일 기준으로 보면 강남 3구 평균 거래가격은 전월 동기대비 2.1% 상승했고요.
같은 기간 나머지 22개 자치구의 평균 거래가는 6.2%, 서울 전체 아파트 전체 거래가는 8.2% 각각 내렸습니다.
대출규제와 정국 불안정의 영향으로 부동산 시장에 한파가 덮쳤지만 강남 3구는 토지거래 허가구역 해제 후에 거래가가 크게 오르고 있는 모습입니다.
실제 거래를 살펴볼까요.
국민 평형이라고 불리는 84제곱미터 기준으로 송파구 한 아파트는 지난 17일 26억 원에 계약됐는데, 지난 6일보다 1억 2천만 원 올랐고요.
강남구에서는 지난해 12월 35억 5천만 원에 팔린 아파트가 이달 13일에 4억 5천만 원 뛴 40억 원에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부동산 업계는 당분간 강남 지역을 중심으로 가격 상승세가 이어질 것으로 내다보고는 있지만 단기 급등에 따른 부작용, 갑자기 폭락할 위험도 있다고 경고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