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작년 경상흑자 990억 달러, 3배로↑…12월 124억 달러 역대 최대

작년 경상흑자 990억 달러, 3배로↑…12월 124억 달러 역대 최대
수출 호조와 해외 증권투자 배당 등으로 지난달 우리나라가 120억 달러 이상의 경상수지 흑자를 거뒀습니다.

한국은행이 오늘(6일) 발표한 국제수지 잠정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경상수지는 123억 7천만 달러(약 17조 9천억 원) 흑자로 집계됐습니다.

같은 12월끼리 비교하면 역대 최대 흑자 기록입니다.

이에 따라 작년 연간 누적 경상수지는 990억 4천만 달러 흑자로, 2023년(328억 2천만 달러)의 3배를 넘어섰을 뿐 아니라 한은의 연간 전망치(900억 달러)도 웃돌았습니다.

월별 경상수지 추이 (사진=한국은행 제공, 연합뉴스)

12월 경상수지를 항목별로 보면, 상품수지 흑자(104억 3천만 달러)가 전년 12월(86억 6천만 달러)이나 전월(98억 8천만 달러)과 비교해 모두 늘었습니다.

수출(633억 달러)은 1년 전보다 6.6% 늘었습니다.

반도체 등 정보기술(IT) 품목 증가세가 이어지고 승용차·화학공업제품 등 비IT 품목의 감소세가 둔화하면서 수출 증가율이 11월(0.8%)보다 높아졌습니다.

품목 중에서는 통관 기준으로 정보통신기기(37.0%)·반도체(30.6%)·철강제품(6.0%)이 늘었고, 지역별로는 동남아(15.4%)·EU(15.2%)·중국(8.6%)·일본(6.1%)·미국(5.5%) 대상 수출이 모두 호조를 보였습니다.

수입(528억 7천만 달러)은 4.2% 불었습니다.

원자재 수입(-9.6%)은 줄었지만 자본재(24.4%)·소비재(1.2%) 등을 중심으로 3개월 만에 증가세로 돌아섰습니다.

품목별로는 가스(-26.6%)·원유(-23.3%)·석탄(-10.6%) 등이 뒷걸음쳤고, 반대로 수송장비(59.2%)·반도체제조장비(42.6%)·비내구재소비재(7.5%) 등의 수입은 늘었습니다.

서비스수지는 21억1천만 달러 적자로 집계됐습니다.

적자 규모가 전월(-19억 5천만 달러)보다는 크지만, 전년 같은 달(-29억 8천만 달러)과 비교하면 줄었습니다.

서비스수지 가운데 여행수지가 9억 5천만 달러 적자였습니다.

적자 폭이 11월(-7억 6천만 달러)보다 커졌는데, 겨울 방학 등 해외여행 성수기의 영향이라는 게 한은의 설명입니다.

본원소득수지 흑자는 11월 24억 1천만 달러에서 12월 47억 6천만 달러로 크게 늘었습니다.

특히 배당소득수지 흑자가 증권 투자 배당 소득을 중심으로 35억 9천만 달러에 이르렀습니다.

금융계정 순자산(자산-부채)은 12월 중 93억 8천만 달러 불었습니다.

직접투자의 경우 내국인의 해외투자가 69억 5천만 달러 늘었고, 외국인의 국내 투자도 12억 3천만 달러 증가했습니다.

증권투자에서는 내국인의 해외투자가 주식을 중심으로 8억 6천만 달러 증가하는 동안 외국인의 국내 투자는 주식 위주로 38억 달러 감소했습니다.

월별 금융계정·자본수지 추이 (사진=한국은행 제공, 연합뉴스)

(사진=한국은행 제공,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