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한국 한파 부른 북극 온난화…평년보다 무려 20도 높아

북극 한파에 얼어붙은 산하(사진=독자 제공, 연합뉴스)
▲ 전국 대부분 지역에 한파주의보가 내려진 5일 오전 제주행 비행기에서 바라본 전남 나주 지역 산과 들이 눈으로 덮여 있다.

북극 온난화가 심각한 수준으로 진행돼 최근에는 북극의 기온이 예년 평균기온보다 20도 이상 높아지기도 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북극 온난화는 한반도를 괴롭히는 혹한의 원인으로도 지목됩니다.

현지시간 4일 영국 일간 가디언은 유럽연합(EU)의 기후변화 감시 기구인 코페르니쿠스 기후변화연구소(C3S) 관측 결과 이달 2일 기준 북극 기온이 1991∼2020년 평균보다 20도 이상 높았다고 보도했습니다.

북위 87도의 기온은 영하 1도까지 상승해 얼음이 녹는점인 0도에 가까워졌습니다.

핀란드 기상학자 미카 란타넨은 "매우 극단적인 겨울철 온난화 현상"이라며 "지금까지 관측된 것 중 가장 극단적인 상황까지는 아니지만 북극에서 일어날 수 있는 일 중 가장 심각한 수준에 속한다"고 말했습니다.

전문가들은 이처럼 비정상적으로 따뜻한 기온이 아이슬란드 상공의 저기압과 만나 북극으로 따뜻한 공기를 유입시키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이례적인 온난화 현상이 북극의 공기 흐름을 무너뜨리면서 찬 공기가 한반도까지 내려와 우리나라에도 한파가 찾아온 셈입니다.

북극의 한기는 평소에는 '폴라 보텍스'라는 거대한 소용돌이에 갇혀있습니다.

이 소용돌이의 회전력이 강할수록 찬 공기는 북극에 갇혀 우리나라 등으로는 내려오지 않습니다.

그러나 북극의 기온이 오르면 폴라 보텍스를 잡아두던 제트기류가 힘을 잃으면서 냉기류가 남하해 한반도까지 혹한이 찾아올 수 있습니다.

문제는 북극 온난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는 점입니다.

가디언에 따르면 화석 연료 연소 등으로 지구의 온도는 산업화 이전보다 1.3도가량 높아졌지만, 햇빛을 반사하던 얼음이 녹으면서 극지방의 온난화는 훨씬 더 빠르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북극은 1979년 이후 지구 평균보다 4배가량 빠르게 온난화 됐습니다.

함부르크 대학의 기후학자 더크 노츠는 빙점 이상으로 기온이 올라가면 얼음이 녹기 때문에 온난화가 더욱 우려된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는 "기온이 계속 상승하는 한 얼음이 점점 더 사라진다는 것은 자명하다"며 "북극해가 향후 20년 안에 처음으로 여름 해빙을 잃을 수 있다"고 짚었습니다.

(사진=독자 제공,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