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탄핵심판 5차 변론에 출석한 윤석열 대통령은 비상계엄 당시 중앙선관위에 군 병력을 투입한 건, 자신이 직접 지시한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또 홍장원 전 국정원 1차장에 잡아들이라고 한 것은 정치인이 아니라 간첩이었다는 주장도 펼쳤습니다.
노동규 기잡니다.
<기자>
홍장원 전 국가정보원 1차장은 지난해 12·3 계엄 당시, 이른바 비화폰으로 두 차례 윤 대통령과 통화했다며, 윤 대통령이 정치인 체포를 지시했다는 기존 주장을 재확인했습니다.
[(윤 대통령이) '이번 기회에 싹 다 잡아들여' '싹 다 정리해' '국정원에도 대공수사권을 줄 테니까 무조건 도와 지원해'(라는 취지로 말했죠?)]
[홍장원/전 국가정보원 1차장 : 그렇게 기억합니다.]
홍 전 차장은 누굴 잡아들이란 건지 몰라 여인형 당시 방첩사령관에게 전화했고, 여 전 사령관이 체포 명단을 불러줬다고 증언했습니다.
[홍장원/전 국가정보원 1차장 : 적다 보니까 '이게 뭐지?' 하는 생각이 들어 서 뒤에 있는 부분들은 추가로 적지 않았고, 한 14명 16명 정도? 그렇게 기억하고 있습니다.]
홍 전 차장 증언을 눈 감고 듣고 있던 윤 대통령은 직접 발언기회를 얻어 반박했습니다.
[국정원은 수사권이 없고 검거는커녕 위치추적을 할 수가 없습니다. 그런 거를 방첩사령관이 모를 리가 없고 그래서 저는 저 자체는 말이 안 된다고 저는 보고 있고요.]
윤 대통령은 홍 전 차장과의 통화 경위에 대해선 조태용 국정원장이 국내에 없는 줄 알고 국정원을 잘 챙기란 뜻으로 건 거였다고 말했습니다.
또 계엄은 국가기관장과 논의할 일이지 홍 전 차장한텐 아예 언급한 적이 없으며, '싹 다 잡아들이라'던 대상도 간첩이었다고 주장했습니다.
[제가 격려 차원에서, 전화를 기왕 한 김에 한번 해야 되겠다 해서, 계엄 사무가 아닌 '간첩 검거와 관련해 방첩사를 도와주라'는 얘기를 한 것이고....]
증인으로 출석한 여인형 전 방첩사령관은 '체포 명단'과 관련해 형사재판이 진행 중이라며 구체적 증언을 피했습니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 군 투입과 관련해 윤 대통령은 검사 때 다룬 선거 소송에서도 엉터리 투표지들이 많았기 때문에 자신이 직접 지시한 거라고 말했습니다.
(영상편집 : 신세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