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미국에서는 트럼프 정부 출범 이후 첫 금리 회의에서 연준이 동결을 결정했습니다. 새 정부 정책이 어떤 결과를 낳을지 불확실한 만큼 상황을 지켜보고 더 인하할지 말지 결정하겠단 입장을 밝혔습니다.
뉴욕에서 김범주 특파원입니다.
<기자>
미국 중앙은행 연준이 기준금리를 4.3% 수준에서 동결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작년 9월 이후 석 달 사이에 1% 포인트 금리를 끌어내린 이후 첫 동결입니다.
물가가 연준 목표인 2% 가까이 내려오지 않고, 여전히 3% 가까운 수준에 머물고 있는 만큼 예상됐던 결과입니다.
관심은 연준이 대놓고 금리 인하를 요구하는 트럼프 대통령 뜻에 따를 것인지에 모아졌습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지난 24일) : 곧바로 금리를 낮추라고 요구할 겁니다. 마찬가지로 전 세계도 금리를 내려야 해요.]
트럼프 대통령은 대출금리를 낮춰서 대중적인 지지를 얻고, 달러 가치를 내려서 무역적자도 잡겠다는 계산인 걸로 해석이 됩니다.
하지만 파월 의장은 대통령과 연락을 한 적이 없다면서 이 요구를 받아들이지 않겠다는 뜻을 밝혔습니다.
[제롬 파월/연준 의장 : 항상 그래왔듯이, (물가안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우리가 가진 수단들을 쓸 거란 점을 알아주시기 바랍니다.]
새 정부 정책이 어떤 결과를 낳을지 불확실성이 높아졌다고도 평가했습니다.
[제롬 파월/연준 의장 : 관세, 이민, 재정, 규제, 이 네 가지 부분에서 정책이 크게 바뀌고 있어서 불확실성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 정책이 물가와 일자리 상황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통계를 보고 금리 방향을 결정하겠다고 설명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연준이 물가 문제를 해결하는데 실패했다면서, 재무부가 직접 대출을 풀고 규제를 줄여서 제조업을 살리겠다고 밝혔습니다.
(영상취재 : 이상욱, 영상편집 : 안여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