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체포 이틀째인 오늘(16일) 윤 대통령은 오전부터 다시 공수처로 나와 추가 조사를 받게 될 것으로 보입니다. 이르면 오늘 안에 구속영장이 청구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옵니다. 이번에는 공수처 나가 있는 취재 기자 연결합니다.
김지욱 기자, 윤 대통령에 대한 2차 조사는 언제쯤 시작될 전망입니까?
<기자>
네, 체포 시한인 48시간이 아직 지나지 않아 윤 대통령은 오늘도 오전에 이곳 공수처에 조사를 받을 걸로 예상이 되고 있는데요, 현재까진 경호처 차량과 같은 어떤 특별한 움직임이 감지되고 있지는 않습니다.
앞서 윤 대통령에 대한 공수처의 첫 조사는 어젯밤 9시 40분쯤 끝났습니다.
어제 조사에서 윤 대통령은 거의 모든 질문에 답변하지 않는 진술 거부권을 행사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조사를 마친 뒤엔 조사 내용이 본인 대답대로 작성됐는지 확인하는 조서 열람 및 날인 절차도 거부하고 퇴장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공수처는 윤 대통령이 어제처럼 진술을 계속 거부할 경우 체포 시한인 48시간을 다 쓰지 않고, 오늘 중에 구속영장을 청구하는 방안도 검토 중인 걸로 알려졌는데요,
이에 맞서 윤 대통령 측은 기존 4명이었던 변호인단에 어제 4명의 변호사가 추가로 선임계를 제출하며 빨라진 수사 속도에 대비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앵커>
김 기자, 조사도 조사이지만 오늘 헌법재판소에서는 탄핵 심판 2차 변론기일이 예정되어 있잖아요. 그런데 윤석열 대통령 측에서 기일 변경을 신청했다고요?
<기자>
네, 오늘 오후 2시 윤 대통령의 탄핵심판 2차 변론기일이 예고가 돼있었는데, 윤 대통령 측이 어제 이 일정을 연기해달라고 헌법재판소 측에 요청했습니다.
윤 대통령 측은 당초 윤 대통령이 직접 출석하려 했지만 공수처에 체포돼 출석할 수 없었다면서, 탄핵심판 당사자로서 보장받아야 하는 권리를 침해받고 있다고 이유를 설명했습니다.
앞서 그제 열린 1차 변론기일은 윤 대통령이 불출석하면서 4분 만에 종료됐습니다.
헌법재판소법은 당사자가 변론에 출석하지 않으면 기일을 다시 정하고, 그때도 나오지 않으면 심리를 진행할 수 있다고 규정하는데, 윤 대통령 측 요청에 따라 오늘 2차 변론기일을 연기할지 아니면 그대로 진행할지에 대해 헌재는 아직 입장을 내놓지 않았습니다.
이곳 공수처 근처에서는 어젯밤 5~60대로 추정되는 남성이 분신을 시도하는 일도 있었습니다.
남성은 의식이 없는 상태로 병원에 옮겨져 현재 중태로 알려졌습니다.
(영상취재 : 김한결, 영상편집 : 최진화, 화면제공 : 시청자 김종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