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오케스트라 단원은 귀가 여러 개…'클래식 악기 연주, 그때그때 달라요' [스프]

[더 골라듣는 뉴스룸] 트리오 가온 김태형 피아니스트, 이지혜 바이올리니스트

트리오 가온 더골룸2
똑같은 악기를 연주하더라도, 독주와 실내악, 오케스트라와 협연할 때, 그리고 오케스트라의 멤버로 연주할 때는 차이가 있죠. 무엇이 어떻게 달라지는 걸까요? 트리오 가온이라는 실내악 팀을 함께 하고 있는 피아니스트 김태형 씨, 바이올리니스트 이지혜 씨에게 물었습니다.

이지혜 씨는 독일 바이에른 방송 교향악단에서 제2바이올린 악장을 역임했는데요, 오케스트라 단원으로 연주할 때보다 오케스트라와 협연할 때, 의식적으로 음정을 더 높인다고 했습니다. 왜 그런 차이가 나타나는 걸까요? 그때그때 다른 클래식 악기 연주의 세계, 연주자의 생생한 이야기 확인해 보세요.
 

김수현 기자 : 피아니스트는 혼자 다닐 때가 많고 독주가 많아서 혼자 집중한다고 하셨는데, 실내악을 하면서 그런 성향이 바뀌나요?

김태형 피아니스트 : 실내악을 하면 제 것도 제 건데, 다 듣고 있어야 하니까 몰입을 넘어서 집요하게 쥐고 못 놓는 것들이 있는데 일단 그런 거를 할 새가 없게끔 만들어지는 거죠. 여기도 듣고, 여기도 듣고. 그러면서 여기가 이렇게 하니까 저도 이렇게 하는 걸 맞추고. 그렇게 음악을 같이 만들어 나가면서 '이걸 쥐고 있을 필요가 없었는데 되레 안 쥐니까 음악이 더 살아 있고' 이런 식으로 많이 는 것 같아요. 시야가 넓어지는 게 아닌가. 그래서 실내악을 많이 하라, 그런 표현이 있는 것 같아요.

김수현 기자 : 그러면 오케스트라랑 협연할 때는 또 뭐가 다른가요?

김태형 피아니스트 : 저 혼자 나름대로 실내악 많이 하고 있는 것 같아요. 협연 가서도. 저번 주에도 베토벤 콘체르토 3번 협연할 때도 첼로랑 계속 주고받으면서 하다가 그다음에 목관이 받아요. 당연히 지휘자 선생님 큐를 보며 하고 있지만 거기에 있어서 저는 셋잇단음표, 그리고 오케스트라는 더블 플랫으로 2 대 3을 맞춰 나가는데, 거기에 목관 멜로디가 있고.

이게 순간적으로 어긋나서 혹은 너무 솔리스틱하다면 그냥 '나 따라와' 할 수도 있는 부분일 수도 있을 것 같아요. 이제 그 모든 요소가 다 맞아떨어지면 협주곡인데 챔버 뮤직을 하고 있는 그런 기분이 드는데요. 끝나고도 지휘자 선생님하고 그 부분에 관해서 너무 좋았다고 얘기를 하고. 각 악기군의 솔로가 나온다면 그런 식으로 더 공간을 주면서 협연을 한달까.

그러니까 저만 무조건 이대로 따라가 이것보다는 이렇게 하기도 하고. 반대로 또 여기는 제가 총대를 메고 가야 되는구나 이런 부분들이 보이는 것 같아요. 그래서 이럴 땐 아예 리드를 해버리고. 서로 막 눈치 보고 있을 때 되레 더 안 맞고 있을 때 있잖아요. 그런 거를 이제 해버리면 해결이 되는 거, 그런 것들을 보는 눈이 실내악을 하면서 는 것 같아요. 아주 모호하게 음악적으로 설명을 한 것 같긴 한데.

이병희 아나운서 : 어렴풋이 알 것 같아요.

김수현 기자 : 이지혜 씨도 마찬가지일 것 같아요. 그전에 오케스트라 제2바이올린 악장으로 하다가, 그거랑은 또 다를 것 같거든요.

트리오 가온 더골룸2
이지혜 바이올리니스트 : 다르더라고요. 사실 아까 태형 씨가 말씀하셨는데, 뭐 중요한 걸 시작할 때 항상 '그냥 해보자.' 그런데 제 성격이 그런 것 같아요. 지금까지 살면서도 그랬거든요. 오케스트라를 시작하게 된 것도 '해보지, 뭐' 이런 식으로 시작하게 된 건데, 처음에는 막연하게 오케스트라, 실내악, 솔로 다 바이올린으로 하는 건데 '내가 바이올린 잘하면 다 똑같지. 바이올린만 잘하면 되지' 하는 생각으로 덤벼들었던 것 같아요.

근데 아니나 다를까, 할수록 너무너무 다른 테크닉, 다른 귀, 다른 역할, 이런 것들이 차이가 크게 느껴지더라고요. 그래서 작년에 한국 들어오고 나서는 아무래도 협연 기회가 더 자주 생기니까 2년 동안 솔리스트라는 거에서 왜 솔리스트가 어려운지. 솔리스트로서 예를 들면 음정이라든지 색채라든지, 언어라든지 이런 것들이 제가 오케스트라에 있을 때보다도 훨씬 더 뚜렷해야 하고 더 많아야 하고 다양해야 하고 이런 거를 찾게 되더라고요. 그래서 '아, 이게 정말 아무나 괜히 솔리스트가 되는 게 아니구나'라는 것을 느끼고. 저는 워낙 실내악을 너무 좋아했었고 오케스트라는 사실 실내악의 확장된 폼이다 보니 비슷한 면이 많은 것 같아요.

대신 오케스트라에서는, 특히 저는 세컨 바이올린을 했으니까 정말 들어야 될 것이 많아요. 기억이 나는 질문 중의 하나가 세컨 바이올린, 특히 바르크 같은 거 하면 똑같은 것을 40마디~50마디를 해야 될 때가 있거든요. 아니면 막 하다가 프레이즈(phrase) 중간에 잠깐 끼어들었다가 일곱 마디 쉬었다 다시 나오고 이런 거 할 때 어떻게 쉬고 나오는 거냐고요. 그러니까 '스코어가 없는데, 어떻게 알고 그냥 나와?' 이걸 물어봤던 적이 있어요. 그런데 오케스트라에 들어가서는 제가 스코어 총보를 리딩하는 법을 배웠어야 됐고. 퍼즐을 맞추듯이 어디에서 어느 역할, 어느 더블링, 어느 테마, 이런 거를 좀 배웠어야 됐고. 그러다 보니 제가 듣는 악기가 정말 너무 많잖아요. 한 번에 여러 악기를 들어야 되는 능력이라고 해야 되나? 그게 필요했었어요.

그래서 오케스트라 하면서는 귀를 여러 개 가지는 거? 되게 이상한 말이긴 한데, 항상 능동적으로 들어야 되는 거. 그런 것들이 오케스트라 할 때 많이 향상된 것 같고. 스위치 온오프 하는 것처럼 귀를 닫을 수 있어요, 바로. 근데 딱 열면 확 들리기 시작하면서 그게 플레잉에 영향을 많이 주거든요. 그런 것들을 오케스트라 하면서 많이 배운 거고. 실내악은 거기서 조금 더 나의 목소리가 생기고, 내가 원하는 음악도 만들어야 하고, 음악을 하나로 만드는 작업이 필요했는데. 그래서 오케스트라를 하다가 실내악 연습할 때는 몸 쓰는 것도 달라지고, 실내악 하다가 솔로 연습할 때는 또 달라지고, 그런 것들이 항상 챌린지였어요.

김수현 기자 : 구체적으로는 어떻게 달라져요?

(남은 이야기는 스프에서)

더 깊고 인사이트 넘치는 이야기는 스브스프리미엄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이 콘텐츠의 남은 이야기가 궁금하다면 하단 버튼 클릭! | 스브스프리미엄 바로가기 버튼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