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럼프 복귀 앞 역대 최대 대미흑자…무역수지 관리 필요성 커져

트럼프 복귀 앞 역대 최대 대미흑자…무역수지 관리 필요성 커져
지난해 한국의 대미 수출과 무역수지 흑자가 각각 1,278억 달러, 557억 달러로 사상 최대를 기록했습니다.

글로벌 기업 간 치열한 경쟁이 벌어지는 미국 시장에서 한국이 거둔 성과입니다.

하지만 이번 달 출범하는 트럼프 2기 행정부가 무역수지 균형을 강조하며 보호주의 정책을 예고한 만큼, 이 같은 성과가 통상 압력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이에 민관 차원의 적극적인 대응이 중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옵니다.

오늘(1일)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2024년 수출입 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의 대미 수출은 1,278억 달러로 전년 대비 10.5% 증가하며 역대 최대치를 경신했습니다.

한국의 대미 수출은 1984년 처음 100억 달러를 넘긴 뒤, 1988년 200억 달러, 2000년 300억 달러, 2011년 500억 달러, 2022년에는 1,000억 달러를 기록하며 꾸준히 증가했습니다.

특히 2018년부터 지난해까지 7년 연속으로 매년 최대 실적을 경신하며 안정적인 성장을 보이고 있습니다.

2024년 대미 수출의 주요 품목은 자동차(342억 달러, 전년 대비 8% 증가)로, 전체 대미 수출의 26.8%를 차지했습니다.

자동차는 대미 무역 흑자의 약 60%를 책임졌습니다.

이어 일반기계(149억 달러, 4% 증가), 반도체(103억 달러, 123% 증가)가 뒤를 이었습니다.

자동차와 일반기계 수출 증가는 미국 시장 내 한국산 제품의 호평과 현지 투자 확대 영향으로 분석됐습니다.

반도체는 미국 빅테크 기업들의 인공지능(AI) 열풍에 따른 서버 투자 확대로 수출이 급증했습니다.

이 같은 수출 성과에 힘입어 지난해 대미 무역수지 흑자도 전년 대비 25% 증가한 557억 달러를 기록하며 사상 최대치를 경신했습니다.

한국은 1998년 이후 대미 무역에서 꾸준히 흑자를 이어오고 있으며, 최근 5년간 흑자 규모는 2020년 166억 달러, 2021년 227억 달러, 2022년 280억 달러, 2023년 444억 달러, 2024년 557억 달러로 매년 증가했습니다.

지난해 한국의 주요 교역국 중 가장 큰 흑자를 기록한 곳은 미국이었으며, 이어 아세안(352억 달러), 베트남(299억 달러), 인도(123억 달러)가 뒤를 이었습니다.

반면, 중동(-735억 달러), 일본(-183억 달러), 중국(-68억 달러) 등에서는 적자를 기록했습니다.

이달 20일 취임하는 트럼프 대통령은 후보 시절 무역 적자 해소를 주요 공약으로 내걸었습니다.

특히 중국산 제품에는 60% 고율 관세를 부과하고, 다른 국가 제품에도 10∼20%의 보편관세를 적용하겠다는 계획을 밝혔습니다.

이에 따라 한국도 대미 무역수지를 관리하고 통상 압력에 대비할 필요성이 높아졌습니다.

정부는 이를 위해 미국산 에너지 수입 확대 방안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한국은 지난해 360억 달러 규모의 액화천연가스(LNG)를 수입한 세계 3대 LNG 수입국으로, 일부 에너지 도입선을 미국으로 전환해 대미 무역수지 균형을 도모할 방침입니다.

트럼프 1기 행정부 시절, 한국은 미국산 원유·가스 도입 비중을 크게 늘렸습니다.

2016년 미국산 원유·가스 수입 비중은 각각 0.2%, 0.1%에 불과했으나, 2023년에는 각각 13.5%, 11.6%로 증가했습니다.

안덕근 산업부 장관은 "미국산 에너지가 중동산보다 가격 면에서 유리하다"며 "우리 기업들이 이를 정책적으로 활용할 여지가 크다"고 밝혔습니다.

한국의 대미 수출 증가가 '투자 유발형'이라는 점도 강조되고 있습니다.

한국 기업들이 미국 현지 공장을 건설하며 기계·설비 반입 등의 수출이 증가했기 때문입니다.

지난해 상반기 기타 기계류 대미 수출은 15억 달러로 전년 대비 239.4% 증가했습니다.

장상식 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장은 "트럼프 2기 정부는 무역 흑자국에 대한 강경 조치를 밀어붙일 가능성이 크다"며 "자동차 및 배터리 등 품목에 대한 압박이 예상된다"고 우려했습니다.

그는 "에너지, 항공기, 농축산물 등 미국 주요 수출 품목과의 협상 노력이 필요하며, 중국 공급망 배제를 통해 한국이 수혜를 볼 수 있는 부분에 대한 전략적 검토도 중요하다"고 조언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