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은 오늘(27일) 대한상공회의소와 주최한 '글로벌 공급망 재편과 AI 시대' 세미나에서 이런 내용을 담은 '글로벌 공급망으로 본 우리 경제 구조변화와 정책 대응' 보고서를 공개했습니다.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국내총생산(GDP) 내 제조업 비중(2020년 기준)은 27%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평균(14%)의 두 배 수준입니다.
제조업 총산출의 절반 정도는 국외에서 소비되거나 국외 생산 과정의 중간재로 쓰이는 '직·간접 수출품'에 해당합니다.
한은은 보고서에서 "경제 내 제조업 비중이 크다는 점에서 중국과 비슷하지만, 수출 익스포저(위험노출액) 측면에서 세계 공급망 교란에 중국보다 더 취약하다"고 진단했습니다.
반면 서비스업 수출 비중은 16% 안팎으로 글로벌 평균(25%) 보다 작습니다.
2010년 이후 최근까지 우리나라의 연평균 서비스 수출 증가율(4.6%)도 글로벌 서비스업 성장률(6.0%) 수준에 미치지 못합니다.
한은은 미래 공급망이 ▲중간재 상품보다 중간재 서비스 중요성이 커지고 ▲제조업의 서비스화가 빨라지며 ▲지정학적 갈등과 기후 변화 대응에 크게 좌우되는 방향으로 재편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이에 대응하려면 반도체 등의 초격차 기술 선점 차원에서 국제 연구·개발(R&D) 협력체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배터리·전기차의 경우 수입처 다변화와 핵심 광물 비축을 강화해야 한다고 설명했습니다.
수입국 ESG(환경·사회적 책무·기업지배구조 개선) 기준에 맞춘 위험 사전 관리, 기술 간 융합을 막는 제조·서비스업 등 업종 기반의 규제 대폭 축소 등도 핵심 과제로 제시됐습니다.
이날 세미나에서 대한상공회의소는 '글로벌 AI 현황과 산업경쟁력 강화 방안' 주제 발표를 통해 "국내 AI 환경이 미국·중국 등 선도국과 비교해 자금·인프라·인재 등의 측면에서 모두 미흡하다"며 "이에 대한 기업과 정부의 대응이 필요하다"고 밝혔습니다.
(사진=한국은행 제공,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