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대학살과 위안부의 비극…참혹한 슬픔이 서려 있는 곳 [스프]

[술로 만나는 중국·중국인] 대학살과 위안부의 슬픔이 숨어 있는 '금릉춘' - 장쑤 난징 (글 : 모종혁 중국문화평론가·재중 중국 전문 기고가)

모종혁 중국본색 썸네일
 

지피지기 백전불태! 친중(親中), 반중(反中)을 넘어 극중(克中)을 위한 지식충전소! 진짜 중국을 만나러 갑니다!
 

난징대학살기념관 기념벽. 대학살로 20만 명이 죽은 것으로 추정된다.
1937년 12월 13일 일본군은 중국의 수도였던 난징(南京)에 쳐들어갔다. 난징성의 중화문(中華門)을 무너뜨리고 시내로 진입했다. 중국군은 곳곳에서 저항했으나 탱크를 앞세운 일본군에게 무력하게 짓밟혔다.

난징을 점령한 뒤 일본군은 '인간 청소'에 나섰다. 항복한 중국군 포로들과 민가에서 색출한 젊은 남자들을 성 밖의 양쯔강(長江)이나 무푸산(幕府山)으로 끌고 갔다.

일본군은 그들을 일렬종대 혹은 일렬횡대로 세운 뒤 기관총 세례를 퍼부었다. 아직 숨을 쉬는 생존자는 확인 사살하거나 총검으로 찔러 죽였다.

난징대학살기념관 자리에서 발견된 수많은 유해
일부 포로와 민간인은 땅을 파게 한 뒤 산 채로 파묻어 생매장했다. 남자들에 대한 '청소'를 끝마치자, 일본군은 여자들을 강간하기 시작했다.

방식은 집단 윤간, 선간후살(先姦後殺), 시신 훼손 등으로 참혹했다. 대상은 10살이 안 된 어린이부터 70대 노파까지 가리지 않았다. 임신부를 강간한 뒤에는 피해자의 배를 갈라 태아를 꺼내어 죽이는 만행도 서슴지 않았다.

훗날 한 일본군 병사는 "우리는 중국 여자들을 옷 벗겨 구경한 뒤 윤간했다. 강간한 뒤에는 그들을 죽였다. 시체는 말할 수 없으니까"라고 회고했다.

양쯔강 변에서 학살된 중국인들. 대부분 강에 버려져 흔적 없이 사라졌다.
난징은 점령된 지 수일 만에 시내 곳곳에 다리를 벌린 채 죽거나 사지가 절단된 여성들의 시체가 쌓였다. 이처럼 살육과 강간은 6주 동안 지속됐다. 학살의 광란 속에 얼마나 많은 중국인들을 죽였는지 파악하기 힘들었다.

1948년 도쿄 전범재판은 일본군이 난징에서 20만 명 이상 인명을 학살했다고 판결했다. 일본 전범들은 "양쯔강에 버려진 시체를 포함하지 않았으나 피해자는 10만 명 이상"이라고 자백했다.

일본군이 점령하자 처음 설치한 시설 중 하나가 위안소였다. 특히 리지샹(利濟巷)위안소가 대표적이다.

일본군이 설치했던 위안소 중 가장 컸던 리지샹위안소
위안부는 제2차 세계대전 시기 일본이 식민지나 점령지 여성들을 모집해서 운영했던 성노예 제도다. 일본 정부가 직접 관여했거나 민간에 의뢰했던 전쟁범죄다.

여성들의 국적은 한국, 대만, 중국, 일본, 동남아, 네덜란드 등 다양했다. 위안소는 중국, 홍콩, 필리핀,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미얀마, 태평양제도 등 일본군이 점령했던 대부분 지역에 개설하여 운영했다.

하지만 정확히 얼마나 많은 위안소를 설치했는지는 알 수가 없다. 제2차 대전이 끝날 때 일본은 전쟁범죄의 흔적을 없애기 위해 대부분 자료를 파기했다.

자신이 위안부였음을 밝혀 일본의 전쟁범죄를 고발했던 할머니들
그러나 금세기 들어 중국과 동남아 각지에서 위안소 실체가 속속 밝혀졌다. 리지샹위안소는 운영 자료와 근무한 위안부가 남아 있는 몇 안 되는 곳이다.

난징을 점령해 통치했던 중지나(中支那) 방면군의 마쓰이 이와네 사령관이 주도적으로 국민당 장군의 고급 주택을 개조해서 설치했다. 그 이유는 부녀자의 강간이 지속되어 군기가 무너지고, 성병이 만연되어 전투력이 저하되는 걸 우려했기 때문이다.

위안소의 설치 건은 바로 승인이 났다. 그 뒤 종전까지 난징 일대에서 40여 곳의 위안소를 개설해서 운영했다.

리지샹위안소의 매표소와 벽에 걸린 이용 규정

위안소가 설치됐던 단일 도시 가운데 최대 규모였다. 일본군 병사들이 본토에서 난징을 거쳐서 중국 중남부 전선으로 갔기 때문이다. 리지샹위안소는 건축 면적이 3,000㎡로, 위안소 중 규모가 가장 컸다.

리지샹 2호는 동운(東雲)위안소로 불렀고, 뒤이어 개조한 18호는 고향루(故鄉樓)위안소라고 불렀다. 동운위안소는 2층 건물로, 1층과 2층에 각각 14개의 방이 있었다.

여기에 조선에서 끌려온 여성들이 많았다. 1942년 12월부터 이듬해 2월까지 일본 제15사단 군의부가 난징 위안부를 조사한 위생부로 알 수 있다.

박영심 할머니가 일했던 방과 일본군이 강제로 찍었던 벽의 나체 사진
위생부 기록에 따르면, 조선인은 214명이었다. 전체적으로 리지샹을 거쳐 갔던 위안부는 역영란, 김순덕 할머니와 북한 출신 박영심 할머니가 대표적이다.

박영심 할머니는 1939년 19살에 일본 순사에게 끌려서 평양을 거쳐 난징에 왔다. 약 3년 동안 리지샹위안소에서 20명의 조선인 여성들과 일했다.

그가 생전에 밝힌 위안소의 실상은 참혹했다. 하루에 일본군 30명 정도를 받았다. 만약 저항하면 다락방으로 끌려가 발가벗겨진 채 매를 맞았다. 하루하루가 지옥 같아서 도망가고 싶었으나 감시가 혹독했다.

쑹산위안소에서의 박영심 할머니(오른쪽에서 첫 번째). 아이는 사산했다.
그러나 더 끔찍한 지옥이 그에게 엄습했다. 박영심은 미얀마로 끌려갔고 중국과 미얀마의 전선인 윈난(雲南)성 쑹산(松山)에 보내졌다. 생전에 "거칠어질 대로 거칠어진 놈들이 술 먹고 달려들 때의 고통은 이루 말할 수 없었다"고 회고했다.

1944년 9월 중국군의 공격으로 일본군 수비대가 전멸하면서 박영심은 포로로 잡혔다. 전체 위안부 중 4명만 살아남았고, 나머지는 병에 걸려 죽거나 폭격에 맞아 죽었다.

당시 박영심은 만삭이었는데, 포로수용소에서 보내져서 생활하다가 1946년에야 고향인 북한으로 돌아갔다.

역영란 할머니가 써서 중국 정부에 제출한 탄원서
역영란 할머니는 19살이던 1941년에 조선인 여성 5명과 함께 난징에 왔다. 6명은 낮에는 100명의 군관 의복을 빨아야 했고 밤에는 병사들을 받았다.

24시간 내내 2명의 병사가 그들을 감시했기에, 도망을 가는 건 꿈도 못 꾸었다. 1년여 뒤 6명은 각기 다른 부대를 따라 뿔뿔이 흩어졌다. 역영란은 중국 대륙 곳곳을 전전해야 했다.

가본 곳이 너무 많아 정확히 어디 어디를 갔는지 기억이 나지 않을 정도였다. 그 와중에 생식 기능을 완전히 잃어, 종전 이후 귀국을 포기하고 후베이(湖北)성 우한(武漢)에서 거주했다.

박영심 할머니를 위시해 위안부들이 겪은 고난을 형상화한 동상
아이를 낳을 수 없었기에 역영란은 혼자 살면서 중국인 전쟁고아를 양자로 거두어 키웠다. 하지만 국적을 중국으로 바꾸지 않았다.

1992년 한중 수교가 이뤄지자, 중국 정부에 북한으로 되어있던 국적을 한국으로 바꾸어 고향으로 귀국시켜 줄 것을 탄원했다. 그 뒤 수년 동안의 노력 끝에 귀국해서 고향인 전라남도에 살고 있었던 가족, 친척과 상봉했다.

(남은 이야기는 스프에서)

더 깊고 인사이트 넘치는 이야기는 스브스프리미엄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이 콘텐츠의 남은 이야기가 궁금하다면 하단 버튼 클릭! | 스브스프리미엄 바로가기 버튼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