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소멸 위기에 놓인 지역을 살리기 위해 '고향사랑 기부제'를 도입한 지 한 달이 됐습니다. 경북에서는 예천군과 의성군, 또 경주시가, 그리고 대구에서는 달성군이 기부를 많이 받았습니다.
서은진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드넓은 곡창 지대가 펼쳐져 있는 의성군.
고령화와 청년 유출로 인구 5만 명 붕괴가 우려되는 지방소멸 고위험 지역입니다.
재정 자립도도 낮아 정부 지원에 의존하고 있는데, 재원 조달 방안으로 고향사랑기부제에 큰 기대를 걸었습니다.
실제로 제도 시행 한 달 만에 전국에서 7천300여만 원을 기부받아 취약 계층 지원과 청소년 보호사업 추진에 동력을 얻었습니다.
[김주수/의성군수 : 기부자의 의도를 그리고 의사를 반영해서 다양한 분야에 기부금을 사용하도록 정비해 나가겠습니다.]
경북에서는 의성을 비롯해 예천군과 경주시가 기부 금액 상위권에 들었습니다.
예천군은 9천400여만 원으로 1억 원 돌파를 앞두고 있고 경주시도 5천300여만 원을 기록했습니다.
고향사랑기부제 시행 한 달 동안 경상북도와 경북 23개 시·군 전체를 합하면 8억 원가량이 모였습니다.
대구에서는 달성군이 1천300여만 원으로 가장 많이 받았고 남구와 대구시가 뒤를 이었습니다.
기부자들은 답례품으로 의성진쌀 등 지역 특산품과 예천사랑상품권, 경주페이 같은 지역화폐를 많이 선택해 특산품 판로와 지역 경제 활성화에 마중물 역할이 큰 것으로 평가됐습니다.
하지만 풀어야 할 과제도 적지 않습니다.
향우회와 동창회에서 고향사랑기부제 참여를 독려하는 것은 물론 전화나 문자 메시지로 홍보하는 게 모두 금지돼 기부 활성화를 위해 지자체가 할 수 있는 게 없기 때문입니다.
과감한 규제 완화와 기부 방식 다각화로 지난해 8조 원이 넘는 기부금을 달성한 일본과 대조적입니다.
[염명배/충남대 경제학과 명예교수 : 우리 지역에 기부하면 '이런 노력을 우리 지역이 하겠습니다'라고 하는 것을 가지고, 기부자 마음을 움직일 수 있는 전략을 세우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중앙 정부에 의존하지 않고 지자체 스스로 기부를 받아 소멸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도입된 고향사랑기부제, 제도 취지를 살리고 기부문화 정착을 위한 보완책 마련이 절실합니다.
(영상취재 : 김명수 TB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