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확산세가 계속되며 소아, 청소년 확진이 크게 늘어난 가운데, 이달 말부터는 5~11살까지 어린이들도 백신을 맞을 수 있게 됩니다. 정부는 특히, 만성 폐질환이나 당뇨 같은 기저질환이 있는 고위험 어린이에게는 백신 접종을 권고했습니다. 12~17살 청소년들에 대한 3차 접종도 오늘(14일) 시작됐습니다.
김덕현 기자입니다.
<기자>
백신 접종이 허가된 만 5~11세는 약 307만 명입니다.
아직 생일이 지나지 않은 2010년생부터 생일이 지난 2017년생까지가 대상입니다.
[전해철/행정안전부 장관 : 해외 국가에서 안전성과 효과가 충분히 검증되었고, 11세 이하가 차지하는 비율이 (전체) 15%를 넘어서는 상황 등을 고려한….]
기존 백신의 1/3 용량인 소아용 화이자 백신을 맞습니다.
오는 24일부터 사전예약하고, 31일부터 전국 1천200여 곳 지정 의료기관에서 접종이 시작됩니다.
화이자와 모더나 백신의 접종 간격이 8주로 늘어나면서, 5~11세도 1차를 맞고 8주 뒤에 2차 백신을 맞을 수 있습니다.
만성 폐질환이나 당뇨 등 기저질환이 있는 고위험군 어린이에게는 백신 접종이 권고됐습니다.
[최은화/예방접종전문위원장 : 기저질환이 있는 소아는 중증 코로나19 감염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보고되었습니다.]
나머지 어린이는 부모 판단에 맡겼는데, 1차 접종 전이나 이후에 확진된 경우에는 접종이 제한됩니다.
어린이 백신으로 1차를 맞았다면 생일이 지나 만 11세가 넘더라도 어린이 백신을 맞습니다.
백신을 맞은 당일과 이후 이틀까지는 학교를 쉬어도 출석이 인정되고, 그 뒤부터는 의사 진단서 등을 제출해야 합니다.
만 12~17세 3차 접종도 오늘부터 가능해졌습니다.
2차 접종 뒤 90일이 지나면 3차 접종할 수 있는데, 면역 저하자는 60일 이후부터 가능합니다.
정부는 화이자나 모더나 백신을 맞은 뒤 생긴 심근염도 백신 이상 반응으로 인정하고 보상금 지원 범위를 확대할 방침입니다.
(영상취재 : 박영일·김민철, 영상편집 : 이소영)
▶ 병원 신속항원검사 '북새통'…"이번 주 확진자 정점"
▶ 동거 가족 내 확진 · 연쇄 감염, 이렇게 대처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