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민주당 대선 후보가 "국민 주권 주의라는 측면에서 가짜뉴스들은 엄정하게 책임을 물어야 한다."라며, 언론중재법 처리의 필요성을 강조했습니다.
이재명 후보는 오늘(1일) 오전, 박병석 국회의장을 예방한 자리에서 "결국 국민은 정보를 통해 판단할 수밖에 없다."라며, "팩트 정보가 왜곡되면 제가 아주 어릴 때 광주 민주화운동을 폭도로 안 것처럼 국민이 잘못 판단하지 않는가."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개인이나 일부 언론도 (왜곡을) 하고, 심지어 국회의원들께서도 많이 하시더라."라면서, "이상한 사진 내놓고 저한테 준 뇌물이라는 둥…."이라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지난달 국회 행정안전위의 경기도 국정감사에서 김용판 의원이 조직폭력배 출신 인물의 SNS 사진을 제시하며, '금품 수수 의혹'을 제기했다가 논란이 인 것을 겨냥한 발언으로 해석됩니다.
이 후보는 박 의장 면담 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표현의 자유는 민주주의를 심화하기 위해서 민주주의를 실질화하기 위해서 만들어진 제도 또는 기본권"이라며, "이것을 일부에서는 악용해 가짜뉴스를 퍼트려 주권자의 판단을 왜곡하는 일이 왕왕 벌어진다."라고 설명했습니다.
특히, 최근 이 후보를 둘러싼 '로봇 학대' 논란을 언급했습니다.
최근 '로봇 박람회'를 찾은 자리에서 이 후보가 4족 보행형 로봇을 넘어뜨리면서 복구 성능을 테스트했는데, 이를 두고 논란이 일었습니다.
이 후보는 "요청에 따라 테스트한 것인데, 앞부분을 잘라내서 로봇을 학대했다고 하고, 심지어 일부는 로봇에 감정이입을 못 한다고 하는데, 그것이야말로 국민의 판단을 흐리는, 민주주의를 훼손하는 악행"이라고 비판했습니다.
이어, "원래 로봇은 넘어지면 일어나야 한다. 못 일어나면 풍뎅이나 거북이 아니겠는가."라면서, "일부 언론이 나를 난폭한 사람으로 만들기 위해 로봇을 학대했다는 식의 가짜뉴스를 퍼뜨렸다."라고 덧붙였습니다.
이 후보는 또, "(국회의원들이) 면책특권으로 가짜뉴스를 마구 유포하고 허위인 줄 알면서도 정치적 음해에 사용하는데 이런 점들은 민주주의를 훼손하는 범죄"라면서, "이는 결코 법률로 보호하면 안 된다. 국민들도 면책특권 제한 의견을 많이 가지고 있는 것 같다."라고 강조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