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가운데 옛 오천 원권 비중이 40%로 가장 많았습니다.
구 오천 원권을 대량 위조한 위폐범이 2013년 붙잡혔지만, 그가 남긴 지폐 중 일부가 여전히 남아있기 때문입니다.
한국은행이 30일 발표한 '2019년 중 위조지폐 발견 현황'을 보면 지난해 한은이 발견했거나 금융기관·개인이 한은에 신고한 위조지폐는 모두 267장이입니다.
이는 전년보다 347장 줄어든 것으로 통계 집계가 시작된 1998년 이후 가장 적습니다.
위조지폐 가운데 옛 오천 원권은 107장으로 전체의 40.1%를 차지했습니다.
구권과 신권을 합한 오천 원짜리 위조지폐는 115장(43.1%)입니다.
만 원권 위조지폐는 182장 감소한 95장으로 전체의 35.6%였습니다.
오만 원권은 2장 줄어든 그친 47장으로 17.6%를 차지했고, 천 원권은 7장 감소한 10장(3.7%)이었습니다.
옛 오천 원권이 가장 많은 이유는 지폐 고유번호에 '77246'을 넣은 구 오천 원권을 대량으로 위조한 이가 2013년에 붙잡혔지만, 그가 유통한 물량 중 일부가 여전히 남아 있기 때문입니다.
다만 '77246'이 찍힌 옛 위조지폐는 2017년 317장, 2018년 259장, 지난해 107장 발견되는 데 그치며 시중에서 점차 사라지고 있습니다.
시중에서 유통되는 지폐 백만 장 당 위조지폐는 0.05장으로 1년 전(0.12장)보다 줄었습니다.
주요국 중에선 한국이 일본(0.12장·2018년 기준)과 함께 가장 낮은 수준이라고 한은은 설명했습니다.
한은 관계자는 "방범시설이 현대화되며 위조지폐 사용이 어려워지고, 위폐의 제작과 유통이 극히 제약된 점 등에 위조지폐가 줄어들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한은은 위조지폐를 쉽게 확인하기 위해서는 은행권을 빛에 비춰보고 손으로 만져보라고 권합니다.
오만 원권은 홀로그램(지도, 태극, 4괘) 무늬가 번갈아 나오는지 보고 빛에 비췄을 때 신사임당의 모습이 보이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만 원권을 기울여보면 홀로그램에서 지도, 태극과 10000, 4괘가 번갈아 나타납니다.
오만 원권과 마찬가지고 비추어 보면 세종대왕의 모습이 보이고, 만져보면 감촉을 느낄 수 있습니다.
(사진=연합뉴스TV 캡처, 한국은행 제공,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