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상반기 국내 주요 대기업의 영업이익이 지난해보다 40% 가까이 줄어든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글로벌 메모리 반도체 시장의 '슈퍼호황' 종료에 따라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흑자가 큰 폭으로 감소한 게 결정적이었고, 정유화학과 철강, 제약 업종 등도 부진을 면치 못했습니다.
기업평가사이트 CEO스코어에 따르면 시가총액 100대 기업 가운데 지난달 말까지 상반기 실적을 발표한 55곳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매출과 영업이익 합계는 각각 592조 3천674억 원과 42조 8천206억 원으로 집계됐습니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매출은 1.2% 늘었지만 영업이익은 39.8%나 감소했습니다.
삼성전자 영업이익은 1년 전보다 17조 6천808억 원, 57.9% 줄어들었고 SK하이닉스 영업이익 역시 1년 전보다 7조 9천371억 원, 79.8%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두 업체의 흑자 감소액 합계 는 25조 6천179억 원으로 조사 대상 55개 기업 전체의 90%를 넘었습니다.
석유화학 대기업들도 정제 마진 감소 등의 영향으로 일제히 두 자릿수의 영업이익 감소를 기록했습니다.
LG화학은 1년 전보다 8천 113억 원, 59.9%나 감소했고 SK이노베이션과 에쓰오일도 각각 47%, 72.6% 줄어들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에 이어 흑자 감소 순위 3위에서 5위사이에 나란히 자리했습니다.
반면에 지난해 중국의 사드 보복 여파 등으로 실적이 곤두박질쳤던 자동차 업종은 뚜렷한 회복세를 보였습니다.
기아자동차 영업이익은 4천 695억 원, 71.3%나 늘었고 현대차도 4천 305억 원, 26.4% 증가하며 흑자 증가 '투톱'을 형성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