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한국당은 21일 청와대 특별감찰반 관련 의혹을 '민간인 사찰 및 정권실세 사찰보고 묵살 의혹'으로 규정하고 공세를 이어갔습니다.
특히 대통령 직속 특별감찰관의 임명을 촉구하는 동시에 야당에 특별감찰관 후보 추천권을 넘길 것을 촉구했습니다.
대통령 친인척을 비롯해 대통령과 특수한 관계에 있는 사람에 대한 상시적 감찰을 담당하는 특별감찰관은 이석수 초대 감찰관이 지난 2016년 8월 사퇴 이후 공석 중입니다.
또한 한국당은 진상규명을 위한 국회 운영위원회 소집을 거듭 요구했습니다.
이를 위해 바른미래당과 공조한다는 방침입니다.
나경원 원내대표는 원내대책회의에서 "이석수 특별감찰관이 물러난 뒤 지금까지 특별감찰관이 공석인데 빨리 임명해야 한다"며 "국회 추천과 관련해 여야 합의가 이뤄지지 않고 있는데, 특별감찰관 업무를 볼 때 추천권을 야당에 넘기는 게 여당의 합당한 태도"라고 말했습니다.
나아가 "특별감찰관 (감찰) 업무 범위를 청와대 비서관, 행정관까지 확대하는 방안에 여당이 협조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현행 특별감찰관법은 국회가 특별감찰관 후보자 3명을 대통령에게 추천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한국당은 특감반 의혹에 대한 청와대의 해명을 강도 높게 비판했습니다.
나 원내대표는 "청와대의 대응을 보니 한마디로 '내로남불의 전형'이고, 가당치도 않은 말로 상황을 모면하는 견강부회 변명"이라며 "그동안 다양한 내부고발자에 대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한 용감한 행동'이라고 치켜세우더니 이번 사건은 '기밀누설의 범법자'라 한다"고 꼬집었습니다.
윤영석 원내대변인은 논평에서 "청와대는 어설픈 해명이 사태를 악화시킨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한다"며 "특감반 사찰의 최종 책임자인 조국 수석의 민간인 사찰 연루 여부도 밝혀져야 한다. 신속한 진실규명과 책임자 처벌을 해야 한다"며 조 수석을 정면 겨냥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