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영철 노동당 부위원장 겸 통일전선부장
통일부는 23일 북한 김영철 노동당 부위원장 겸 통일전선부장의 방남 논란과 관련해 이례적으로 설명자료를 배포하며 논란 진화에 부심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통일부는 이날 오전 기자들에게 A4용지 6장 분량의 '김영철 부위원장 방남 관련 설명자료'를 배포했습니다.
맨 앞 2장은 김 부위원장의 방남 수용 배경을 상세히 설명하고 국민에게 대승적이고 미래지향적 차원에서 이해를 구하는 내용으로 구성됐습니다.
다음 2장은 통일부가 자체적으로 정리한 11가지 쟁점 사항에 대한 설명으로 이어졌습니다.
'천안함 폭침'은 북한의 소행이냐는 쟁점 질문에는 "북한의 명백한 군사적 도발로 간주한다"는 답변이 달렸습니다.
통일부는 '천안함 폭침'을 계기로 시작된 '5·24 조치'에 대한 입장도 이전 정부와 동일하느냐는 질문에 대해서는 "북한의 도발에 대한 진상 규명과 책임자 처벌 등도 중요하나 중요한 것은 이러한 도발이 다시 발생하지 않도록 한반도에 실질적 평화를 구축해나가는 노력이라고 본다"고 답했습니다.
또 김 부위원장이 '천안함 폭침'과 무관하다고 보는 것이냐는 쟁점에는 "'천안함 폭침'을 주도한 인물이 누구인지 특정하는 데 한계가 있고 그런 차원에서 김 부위원장의 연관 여부도 단언하기 어렵다는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이와 함께 김 부위원장이 한미 양국의 독자제재 대상이라 방남에 문제가 없는지에 대해서는 "김영철은 우리 국민과의 외환·금융거래가 금지되고 국내자산이 있다면 동결대상이나 우리 지역 방문에 대한 제한은 없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미국 독자제재 대상으로서 미국 방문 등이 금지되는 것으로 알고 있고 미국 측과는 관계 부처에서 협의를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고 덧붙였습니다.
이밖에 김 부위원장 등과 대북 특사나 문재인 대통령의 방북 문제도 논의될 예정인가라는 질문에는 "남북 당국간 남북관계 발전과 한반도 평화정착을 위한 방안에 대한 대화와 협의 기회가 마련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는 원칙적 설명이 붙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