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년 동안 세월호 인양만을 기다리던 유가족들도 지금 목포신항에 가 있습니다. 그런데 머물 데가 없어서 항구 외곽에서 천막 노숙 중입니다. 해양수산부가 이분들이 목포신항 안에 머무는 걸 막았기 때문입니다. 특히 이 과정에서 논란이 될 만한 말들이 나왔습니다.
조을선 기자의 단독 보도입니다.
<기자>
목포신항 부두 외곽, 세월호 유가족들의 텐트가 모인 곳입니다.
유가족 70여 명은 세면 시설도 없는 곳에서 물티슈로 버텨가며 나흘째 노숙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미수습자 가족과 달리 유가족은 목포신항 컨테이너에 상주할 수 없다고 해양수산부가 못 박았기 때문입니다.
[이남석/故 이창현 군 아버지 : 무엇보다 세월호를 보고 싶고요. 왜 이렇게 가족들 막는지 도대체 이해가 안 갑니다. 무엇이 그렇게 감출 게 많은지.]
해수부의 입장은 한 마디로 "감시하겠다는 거 아니냐"는 겁니다.
[해수부 인양추진단 대외협력팀장/지난달 28일 비공개 관계기관회의 : 그분(유족)들의 주된 바라는 게 뭐냐 그러면 작업현장에서의 증거 회수, 무단 반출, 이런 거에 대한 감시가 주된 목적이라고 생각이 돼서, 솔직히.]
그러면서 유가족은 미수습자 가족과 달리 '당사자가 아니라'는 취지의 말도 합니다.
[해수부 인양추진단 대외협력팀장/지난달 28일 비공개 관계기관회의 : 왜 이해가 안 가시죠? 한쪽은 수습을 못 했고, 가족협의회는 아주 일부분을 제외하시고는 죄송합니다, 수습을 해서 어느 정도는 다 화장도 하시고, 미수습자 수습에 관해서는 당사자가 아니죠.]
하지만, 신체의 일부가 없이 돌아온 희생자들도 있고, 유류품을 찾지 못한 경우도 많습니다.
해수부는 '감시'라는 표현은 죄송하다며, 현장에 CCTV를 설치해 세월호를 볼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습니다.
(SBS 비디오머그)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