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적으로 심화하는 '빈익빈 부익부' 현상이 경제는 물론 사회적으로도 악영향을 미치고 육체적·정신적 건강의 격차도 확대하고 있습니다.
경제 발전에도 질병이 만연하는 근본 원인은 사회경제적 불평등 때문이며 이로 인한 '건강의 불평등'을 해결하려 노력하지 않는 것은 부도덕한 일이라는 주장이 제기됐습니다.
영국의 유명 보건전문가인 노팅엄대학 케이트 피켓 교수 등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선 정부와 정당들은 물론 시민이 더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는 내용의 칼럼을 국제적 의학 학술지 BMJ에 실었습니다.
이들은 칼럼에서 세계경제포럼 자료 등을 인용하고 여러 개의 각주를 달아, 1980년대 이후 부자나라들에서조차 경제적 불평등이 엄청나게 빠르게 커지고 있는 상황 등을 자세히 설명했습니다.
경제적 불평등은 경제 안정과 성장을 저해하고 공공재정의 위기, 심각한 사회불안, 사회 양극화 증가, 배타적 민족주의 정서 고조, 과소비 조장, 기후변화와 환경 악화 등 전방위적으로 부정적 결과를 초래합니다.
나아가 소득 불평등은 질병과 치료의 불평등으로 이어지며, 육체뿐 아니라 정신의 건강에도 커다란 악영향을 미칩니다.
이 칼럼에 따르면, 심지어 선진국 간에도 불평등이 더 심한 나라는 정신질환과 영아사망률이 다른 부국보다 2~3배 더 높습니다.
10대 출산율과 살인율은 최대 10배까지도 더 높을 수 있습니다.
영국과 미국의 경제 성장에도 5~10년이었던 많은 도시의 기대수명 격차는 그대로입니다.
때로는 빈부 지역 간 기대수명 격차가 15~20년에 이르기도 합니다.
불평등 여파는 빈곤 계층뿐만 아니라 그 사회 전체, 대부분 사람에게 스며듭니다.
불법 약물 사용과 비만도 더 많아지며, 폭력이 늘어나고 공동체 삶과 사회적 신뢰는 약해집니다.
학력 수준 향상과 사회적 계층 이동성도 낮아집니다.
신분불안과 경쟁심화로 불안, 우울, 중독 등 각종 정신질환도 증가합니다.
피켓 교수 등은 세계의 지도자들과 학자, 기업인, 시민사회, 정부들이 전반적으로 이런 문제를 우려해왔지만, 상황은 더 악화했으며 그간의 과정을 살펴보면 앞으로도 낙관하기 어렵다고 밝혔습니다.
또 '표면상으로는 진보적인 정부들'에서조차 오랫동안 불평등 해결에 실패한 것이 기존 정당들에서 여론이 멀어진 이유 가운데 하나일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피켓 교수 등은 각국 보건의료 전문가들이 지난 수십 년간 연구한 결과 의견 일치를 본 것은 건강의 불평등 문제를 해결하려면 '이를 결정하는 구조적 요인들'을 정면으로 다뤄야 한다는 점이라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20세기 중반에 몇십 년 동안 나타났던 불평등 감소 추세는 부분적으로는 이른바 노동운동에 대응해 이런 저항을 상쇄하려는 목소리에 의해 이뤄졌다"며, "오늘날 효과적인 정치적 행동은 강력한 풀뿌리 운동의 발전에도 달려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