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정부 상징 '무궁화' 문양 반세기 만에 바뀌나

문화체육관광부가 올해 내에 알기 쉽고 통일된 정부상징(GI)을 만들겠다는 정책 의지를 공식화함에 따라 국가 상징체계 개편의 필요성과 향후 정책 방향에 대한 논의가 공론장의 무대 위에 올랐다.

이에 따라 지난 1963년 나라문장 제정과 1967년 정부기 문양 제정 이후 반세기 가량 사실상 정부를 대표해온 상징물이 돼온 '무궁화'가 다른 상징물로 대체될 수 있을지에도 관심이 쏠린다.

원용기 문체부 문화예술정책실장은 17일 오전 광화문 청사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박근혜 대통령 주재 하에 오전에 열린 국무회의에서 정부상징체계 개편에 대한 추진 보고가 이뤄졌다"며 "모든 부처의 협업이 필요한 사안인만큼 이후 개발을 맡은 문체부와 적용과 관리를 맡게 될 행정자치부를 중심으로 긴밀한 협조를 해나가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상징 통합의 필요성은 그간 각 부·처와 공공기관별로 제각각으로 만들어져 관리돼온 상징물(MI)이 일관적이지 못하고 정부의 대표성도 제대로 보여주지 못했다는 점에 기인한다.

원 실장은 "정부조직 개편 때마다 기관별로 상징물을 변경해와 국민이 각 기관의 이미지를 명확히 식별하는데 어려움을 겪어왔다"며 "그간의 상징이 국제관계에서 한국을 대표하는 이미지로 사용하기 곤란하다는 지적도 있었다"고 말했다.

문체부는 각 기관이 하나의 문양을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독일과 프랑스, 네덜란드, 캐나다 등 국가들의 통합형 상징체계나 통일성을 갖추고 일부 특수성을 반영하는 영국, 미국, 덴마크 등의 혼합형 채택을 염두에 두고 있다.

국제적으로는 오스트리아와 폴란드 등 현재 우리처럼 개별형 상징체계를 둔 나라들도 있다.

문체부 관계자는 "현재의 개별형에서 통합형이나 혼합형으로 바꾸자는 게 기본 의도"라며 "컨소시엄 업체 5개팀의 개발 결과와 일반인들을 상대로 한 공모, 이후 공청회 등 여론 수렴을 거쳐 어느 방향으로 갈지 가닥을 잡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주요 선진국들이 통합형 상징체계를 채택하고 있는 건 그만큼 대내외적으로 정부와 공공기관들의 일관된 정체성 확보와 홍보 등 측면에서 유용하기 때문이다.

통합적 정부상징이 만들어지면 이를 활용해 디자인 측면에서 행정서식과 깃발, 내외부 표지물 등 다양한 응용도 가능하다.

또한 기관별로 개별화한 현재의 우리 상징체계는 잦은 개편으로 인해 각 부처 특성을 제대로 살리지도 못한다는 지적도 있다.

과거 국토해양부의 경우 각각 국토와 해양을 상징하는 녹색과 초록색 띠를 입체적으로 맞물리는 모양의 부처 상징을 만들었으나 국토교통부로 개편된 뒤에도 해당 상징물을 그대로 쓰는 실정이다.

향후 통합 진행에 있어선 기존의 무궁화 문양을 대체하는 상징물 채택이 가능할지가 주목된다.

그러나 무궁화나 태극 무늬 등 기존의 상징물을 대체하긴 쉽지 않으리란 전망이다.

문체부도 개발 과정에서 지정 소재로 무궁화와 태극을 우선적으로 고려하고 있다.

문체부에 따르면 무궁화의 경우 대표 상징물로 고착화 돼 국민 다수의 공감을 이끌어낼 수 있다는 강점을 가진 반면, 디자인 측면에서 다양한 변용을 주기 어렵고 현대적 의미의 정체성을 담기에는 부족하다는 지적들도 있다.

독수리를 정부 문양에 사용하는 미국의 경우 다양한 디자인 구현이 가능해 혼합형의 대표적 사례로 꼽힌다.

무엇보다 기존 정부상징과 별반 차이 없는 상징물로 통합하게 될 경우 개편의 의의가 반감될 수밖에 없으리란 점이 문체부 입장에선 고민스럽다.

문체부 관계자는 "국민의 창의적 의견들을 잘 수렴해 미래지향적인 상징물 발굴이 이뤄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