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뉴스>
<앵커>
지난해 한.일 정상회담에서 합의된 ´역사공동연구위원회´ 출범이 이르면 내일(5일) 공식 발표될 예정입니다. 당연히 우리로선 일본의 역사연구 회의가 주요 연구 과제가 될 것으로 기대를 했는데 분위기가 좀 이상하게 돌아가고 있습니다.
조성원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한.일 양국이 참여하는 역사 공동연구 위원회는 두 나라의 민간 전문가 10명씩으로 구성됩니다. 고대와 중세, 근.현대사 등 3개 분과로 나뉘어, 우선 1차 시한인 2년 동안 역사 연구 활동을 벌일 예정입니다.
그러나 기구 구성 과정에서 우리 측의 당초 요구는 대부분 수용되지 못했습니다. 기구 명칭에 ´교과서´라는 말을 넣자는 우리측 안 대신, 일본측 안대로 ´역사 공동연구´라는 막연한 표현이 채택됐습니다.
또 정부가 주도하는 지원위원회에서, 연구결과를 교과서 제작에 반영하는 방안을 결정한다고는 하지만, 반영 방법이 명문화 되지도 않은 상황에서 실제로 연구결과가 얼마나 반영될 지는 미지수입니다.
{신용하/서울대 교수}
"일본 주장을 다 들어줘서 이 기구가 역사왜곡 방지 역할 잘 못할 것입니다."
정부는 이번 기구 구성으로 역사 왜곡 수정이라는 과제 해결에 첫 발을 내디뎠다고 평가하고 있지만, 기구에 별다른 구속력이 없는 상황에서 제2, 제3의 역사 왜곡 사태가 방지될 지는 미지수라고 전문가들은 우려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