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빌라왕' 전세사기에 경매시장도 위축…빌라 낙찰가율 급락

'빌라왕' 전세사기에 경매시장도 위축…빌라 낙찰가율 급락
수도권에 속칭 '빌라왕'식의 전세사기가 속출하는 가운데 법원경매 시장에서 빌라의 낙찰가율이 큰 폭으로 하락했습니다.

법원경매정보업체 지지옥션에 따르면 이달 서울지역 연립·다세대주택 낙찰가율은 지난달(84.9%)보다 하락한 평균 79.8%를 기록하며 80% 밑으로 떨어졌습니다.

이는 2019년 12월(79.3%) 이후 3년 만에 가장 낮은 수치입니다.

서울 화곡동 일대와 함께 '빌라왕'들의 전세 사기가 잇따르고 있는 인천 지역도 지난달 빌라 낙찰가율이 70.7%로 내려와 2021년 5월(69.4%) 이후 1년 7개월 만에 가장 낮았습니다.

서울의 경우 이달 총 637건이 경매에 부쳐져 11%인 71건만 낙찰됐고, 인천은 212건이 경매돼 25%인 53건이 주인을 찾았습니다.

전세 계약서

최근 서울과 인천 등 수도권을 중심으로 활개를 친 빌라왕 사건의 여파로 일시적으로 빌라에 대한 투자심리도 위축된 게 아니냐는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아파트 낙찰가율 역시 고금리와 경기 침체 여파로 지난달보다 하락했습니다.

12월 서울 아파트 낙찰가율은 76.5%로 2013년 1월(74.1%) 이후 9년 11개월 만에 최저를 기록했습니다.

낙찰률(경매 진행건수 대비 낙찰건수)은 17.9%로 지난달(14.2%)보다는 다소 높아졌지만 여전히 10%대의 저조한 결과를 보였습니다.

경기지역 아파트 낙찰가율도 73.7%로 2012년 8월(72.8%) 이후 10년 4개월 만에 최저를, 인천은 68.0%로 2014년 6월(53.7%) 이후 8년6개월 만에 최저를 각각 기록했습니다.

최근 집값 하락과 거래 절벽으로 급급매물만 팔리며 경매 감정가가 실거래가보다 높은 경우가 늘면서 경매 낙찰가도 떨어지고 있습니다.

상가 등 상업용 부동산 경매도 냉랭합니다.

12월 서울 상가 평균 낙찰가율은 68.7%로 올해 2월(64.7%) 이후 최저를 기록했다.

광진구 구의동 테크노마트와 구로구 구로동 신도림테크노마트의 오픈형 구분 상가 5건이 감정가의 7.9%, 9.2%에 저가 낙찰되면서 낙찰가율을 끌어내렸습니다.

전문가들은 내년 매매시장만큼 경매시장도 침체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지지옥션 이주현 선임연구원은 "집값 하락과 거래 절벽이 이어지는 가운데 내년에도 고금리 기조가 지속된다면 낙찰가율은 더 하락할 수 있다"며 "다만 2회 이상 유찰돼 입찰가가 시세 이하로 많이 떨어진 물건에는 응찰자들이 몰릴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