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직장 내 괴롭힘
한국 사회에서 인권침해를 주로 저지르는 사람은 50대 남성 직장 상사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오늘(27일) 국가인권위원회가 전국 만 19세 이상 성인 1만 7천45명을 대상으로 올해 7∼8월 진행한 '2025 인권의식실태조사'에 따르면 지난 1년간 인권침해 피해를 경험했다고 응답한 3천514명 중 45.2%가 직장을 피해 발생 장소로 꼽았습니다.
그다음으로 많은 이웃, 동호회 등 지역사회(28.3%)보다 16.9%p(포인트) 높은 수치입니다.
인권침해 피해자 중 직장 상사나 상급자를 가해자로 지목한 비율은 26.6%로 나타났습니다.
2위를 차지한 '이웃이나 동호회 사람들'(15.4%)보다 1.7배 높았습니다.
3위는 '고객이나 소비자'(8.1%)였습니다.
가해자의 성별은 남성이 58.4%, 여성이 33.4%로 남성이 더 많았습니다.
연령대는 50대가 34.7%로 가장 많고 60대 이상이 28.2%로 두 번째로 많아 중장년·노년층이 3분의 2를 차지했습니다.
40대(17.5%), 30대(8.2%), 20대 이하(2.2%)가 뒤를 이었습니다.
인권침해를 경험한 사람들의 79.2%는 침묵을 택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적극적으로 반대하거나 시정을 요구한 사람은 13.2%에 불과했고 인권 침해에 오히려 동조한 사람도 7.7%나 됐습니다.
이들은 주로 인권 침해를 심각하지 않게 생각하거나 방법을 몰라서 침묵했다고 응답했습니다.
전날 '2025년 국가인권통계 분석 토론회'에서 연구 결과를 발표한 유은혜 숭실대학교 정보사회학과 교수는 "한국 사회 인권침해의 전형적인 가해자 프로필은 '40∼50대 남성 직장 상사'"라며 "직장을 중심으로 가해자와 피해자에 대한 맞춤 대응 전략이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토론자 장미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명예선임연구위원은 "직장 내 인권침해는 조직의 위계 구조와 침묵을 강요하는 문화가 결합한 문제"라며 "침해를 인지해도 신고 경로 부족, 불이익 우려, 조직 내 고립 등에 대응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고 지적했습니다.
(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