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연일 치솟는 환율이 먹거리 물가 부담도 키우고 있습니다. 서민들의 대표적인 외식 메뉴 중 하나인 칼국수도 이제 한 그릇에 1만 원이 넘는데요. 외환당국은 환율 안정을 위해 국민연금을 동원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습니다.
이태권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서울 명동의 칼국수 전문점입니다.
한 그릇에 1만 1천 원인데, 다음 주부터 1만 2천 원으로 오를 예정입니다.
[오숙자/강원 춘천시 : 아니 뭘 올려 1만 1천 원 해도 비싼데. 1만 원만 해도 돼 칼국수. (가격 오르면) 부담은 되지 뭐. 냉면도 얼마야, 냉면도 난 아까워서 냉면을 올 여름에 한 번도 못 먹었어요.]
서울의 칼국수 1인분 평균 가격은 9천638원으로 매년 오름세입니다.
[식당 직원 : (밀가루 가격이 좀 올라서 그런 건가 싶어 가지고.) 그런 부분도 있고 인건비 인상 그런 것도 있고 그럴 것 같아요.]
면 음식의 주요 원재료인 국제 밀 가격은 최근 내림세이지만, 높은 환율에 가공비까지 더해지며 국내 밀가루 가격은 좀처럼 내려가지 않고 있습니다.
고환율 여파에 미국산 소고기 가격도 평년보다 19%나 올랐습니다.
[유광선/서울 서대문구 : 한우는 너무 비싸지 않습니까. 그러다 보니까는 외국산, 미국산 (찾게 되고). 안 먹을래야 안 먹을 수가 없을 정도인데 그것마저도 이제 오르니까.]
원 달러 환율은 외국인 투자자들의 국내 주식 순매도 영향에 6거래일 연속 오르며 7개월 반 만에 최고로 뛰었습니다.
[석병훈/이화여대 경제학과 교수 : (수출 기업들이) 원화로 환전하지 않고 그대로 달러로 보관하고 있을 가능성이 커가지고 원 달러 환율은 추세적으로 상승할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거든요. 외식비라든지 수입 식자재 가격을 상승시킬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정부는 국민연금의 해외 투자가 외환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점검하기 위해 기재부와 복지부, 한국은행 등이 참여하는 협의체를 가동했습니다.
해외 투자를 위한 국민연금의 대규모 달러 수요가 구조적으로 환율을 밀어 올리고 있다고 보는 겁니다.
다만, 국민의 노후 자산인 국민연금을 환율 안정 수단으로 활용하는 데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습니다.
(영상취재 : 설민환, 영상편집 : 정용화, 디자인 : 임찬혁)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