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1인 1표제'에 당내 반발…"미룰 수 없는 과제"

<앵커>

정청래 민주당 대표가 당내 선거에서 대의원도 권리당원과 마찬가지로 1표씩만 행사할 수 있도록 당헌·당규를 고치려고 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되면 대의원의 영향력이 20분의 1 정도로 줄고 권리당원 영향력은 상대적으로 커지게 되는데, 정 대표의 연임을 위한
포석이라는 해석도 나옵니다.

손기준 기자입니다.

<기자>

민주당 대표 등을 뽑을 때 권리당원 1명은 1표, 대의원 1명은 20표의 비중을 각각 행사할 수 있습니다.

이것을 대의원도 권리당원처럼 1표만 갖도록 바꾸자는 게 '전 당원 1인 1표제'입니다.

[정청래/더불어민주당 대표(지난 21일) : 대한민국 어느 조직에서도 이 '1인 1표'의 헌법에서 보장한 평등 정신을 위반해선 곤란하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민주당 일각에서는 지난 8월 당 대표 경선 때 권리당원 투표에서 우위를 보였던 정 대표가 차기 경선을 의식해 사전포석을 두는 거라는 시각도 있습니다.

공개적 반대도 터져 나왔습니다.

이언주 최고위원은 "지도부 불신을 초래할 수 있다"며, 친이재명계 원외 조직으로 불리는 '더민주전국혁신회의' 등은 '절차상 졸속'이라며 반대합니다.

대의원 제도가 전국정당의 기반이 되는 '전략적 보완장치'라는 반대 논거도 있습니다.

[강득구/더불어민주당 의원 : 1인 1표제를 도입한다는 이유로 그 보완장치의 취지까지 모두 없애버린다면, 그것은 우리 당의 역사와 정체성, 그리고 가치를 훼손하는 우를 범하는.]

논란이 커지자 정 대표가 직접 진화에 나섰습니다.

어제(23일) SNS에 "1인 1표제는 더 미룰 수 없는 당내 민주주의 과제"라며 "이재명 대표 시절부터 3년여간 꾸준히 요구되고 논의된 사안"이라고 쓴 것입니다.

박수현 수석대변인 등도 과거 원외 지역위원장들을 중심으로 '1인 1표제' 도입 요구가 있었다며 정 대표 엄호에 나섰습니다.

민주당은 오늘 당무위원회와 오는 28일 중앙위원회 등을 거치며 당헌·당규 개정 절차를 밟을 예정인데, 당내 갈등으로 번질 가능성도 있습니다.

(영상취재 : 전경배, 영상편집 : 유미라, 디자인 : 박태영·장예은)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