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민주당 최고위원회의
더불어민주당 정청래 대표는 이른바 '1인 1표제' 당헌·당규 개정을 둘러싼 친명계 일각의 비판에 "더 미룰 수 없는 당내 민주주의 과제"라고 반박했습니다.
정 대표는 자신의 페이스북에 "이재명 대표 시절 최고위원으로서 호흡을 맞추며 당원 주권 정당의 꿈을 이루기 위해 최선을 다했다"며 이렇게 적었습니다.
정 대표는 2022년∼2023년 당 원외지역위원장 협의회가 대의원제 개선과 권리당원 1인 1표제를 요구하는 내용으로 냈던 성명서를 인용하며 "이재명 정부의 국민주권 시대에 걸맞게 당원 주권 시대로 화답해 달라"고 요청했습니다.
박수현 수석대변인도 자신의 SNS에 "(1인 1표제는) 정 대표가 말을 한 적도 없는 대표 재선을 위한 갑툭튀(갑자기 툭 튀어나옴)가 아니"라며 "여러 번의 당 혁신 계기에 봇물처럼 터져 나왔던 '아래로부터의 요구'였다"고 강조했습니다.
당 지도부의 진화 시도에도 당헌·당규 개정을 둘러싼 논쟁은 오늘도 이어졌습니다.
이재명 1기 지도부 수석사무부총장을 지낸 강득구 의원은 SNS에 "1인 1표제를 도입한다는 이유로 (대의원제가 가진) 보완 장치의 취지까지 없애버린다면 당의 역사와 정체성, 가치를 훼손하는 우를 범하는 '졸속 개혁'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이어 "당원 주권과 전국정당을 동시에 실현하는 '1인 1표 + 알파'의 균형 잡힌 보정안을 만들어야 한다"며 "지도부가 개혁 내용과 숙의 절차 모두에서 충분한 정당성을 확보하길 요청한다"고 적었습니다.
윤종군 의원도 SNS에 "대의원과 권리당원 1인 1표제에 대해서는 지역위원장 영향력 때문에 개정이 필요하다는 데도 동의한다"면서도 "전 지역 권리당원 표를 1인 1표로 하는 것에는 이견이 있다"고 전했습니다.
윤 의원은 "영남지역 당 활동 활성화, 당원 자긍심 고취를 위한 최소한의 동인을 제공하는 대안이 함께 논의돼야 한다"고 덧붙였습니다.
이 대통령이 해외 순방 기간에 당 지도부가 당헌·당규 개정 작업을 착수한 데 대한 친명계의 곱지 않은 시선도 습니다.
이런 시각에는 정 대표가 대표직 재선을 염두에 두고 자기 정치를 하는 게 아니냐는 의구심이 깔려 있습니다.
친명계 원외 최대 조직인 더민주혁신회의가 어제 논평에서 '의견수렴 방식·절차적 정당성·타이밍'을 언급한 것도 이와 무관하지 않다는 해석이 나옵니다.
민주당은 내일 당무위, 오는 28일 중앙위를 각각 열어 이번 당헌·당규 개정안을 의결한다는 방침입니다.
(사진=연합뉴스)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