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고학력 2030 장기 백수' 13개월 만에 최다…반년 이상 구직 중

'고학력 2030 장기 백수' 13개월 만에 최다…반년 이상 구직 중
4년제 대학교 졸업 이상 고학력인 20∼30대 장기 백수가 13개월 만에 가장 많은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그 영향으로 6개월 넘게 구직하는 실업자가 4년 만에 최다를 기록했습니다.

16일 국가데이터처(옛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구직 활동을 6개월 이상 했는데도 일자리를 구하지 못한 장기 실업자는 지난달 기준 11만 9천 명으로, 2021년 10월(12만 8천 명) 이후 4년 만에 가장 많았습니다.

6개월 이상 장기 실업자(이하 장기 실업자)는 코로나19 팬데믹 시절인 2020년 5월∼2021년 12월 계속해서 10만 명을 웃돌았고, 이후 대체로 10만 명 아래에 머물다가 지난달 급증했습니다.

지난달 전체 실업자(65만 8천 명) 중 장기 실업자 비율은 18.1%였습니다.

같은 10월과 비교할 경우 1999년 통계 작성 시작 이래 최고 수준이었습니다.

외환위기 여파가 계속되던 1999년 10월(17.7%)보다도 높았습니다.

장기 실업자 비율은 지난 4월 9.3%로 한 자릿수였지만, 5월 11.4%로 두 자릿수로 올라선 뒤 6개월 만에 2배 수준으로 높아졌습니다.

4년제 대학교 졸업 이상 학력을 지난 고학력 청년층이 장기 실업자 증가의 주요인으로 풀이됩니다.

경제활동인구조사 마이크로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4년제 대학교 졸업 이상 학력을 지닌 20∼30대 중 장기 실업자는 3만 5천 명으로 집계됐습니다.

지난해 9월(3만 6천 명) 이후 13개월 만에 가장 많습니다.

연령대를 5세 단위로 보면 25∼29세에서 규모가 가장 컸습니다.

총 1만 9천 명이 학사·석사·박사 학위를 받은 뒤 장기 백수 상태로, 지난 3월(2만 명) 이후 가장 많은 수준입니다.

구직활동 자체를 포기한 청년 '쉬었음' 계층은 줄었지만 고학력 청년 장기 실업자가 늘면서 '일자리 미스매치' 현상이 해소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청년 쉬었음은 지난달 40만 9천 명으로 1년 전보다 9천 명 줄었습니다.

최근 6개월 연속으로 전년 같은 달 대비 감소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장기 실업자는 구직활동을 포기할 경우 쉬었음으로 바로 이동할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쉬었음이 다시 증가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더 심각한 점은 청년 인구 감소 추세를 역행해서 고학력 장기 백수가 증가한다는 점입니다.

청년층 인구는 지난 3월 801만 6천 명에서 4월 799만 4천 명으로 800만 명대가 깨졌고, 매달 전년 대비 20만 명 내외 수준으로 감소하고 있습니다.

김광석 한국경제산업연구원은 "고학력 청년층이 대기업 문을 두들기지만 대기업은 경력직을 원하는 소위 미스매치 현상이 원인이라고 봐야 한다"며 "대미 3천500억 달러 투자에 따른 고용 위축, 인공지능(AI) 기술 발전은 청년층 미스매치의 악화를 더 구조적으로 악화시킬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TV 제공,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