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서울 전역과 경기도 12곳을 규제 지역으로 지정한 부동산 대책이 나온 지 한 달 가까이 지났습니다. 거래량이 급격히 줄고 가격 상승도 둔화하는 양상인데, 지역을 세부적으로 들여다보면 상황이 다릅니다.
정준호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서울 노원구의 아파트 단지입니다.
매달 3~4건씩 이뤄지는 거래가 10·15 부동산 대책 이후로는 1건도 없습니다.
[김경숙/노원구 공인중개사 : 여기를 규제를 해서 그나마 이렇게 간혹 있는 것(매매)도 사람들이 불편해서 못하게….]
[노원구 아파트 매도인 : 안 팔리고 하는데 완전히 헐값으로 내놔야 되나 막 그런 생각에 잠을 못 자네요. 요새.]
조합원 지위 양도가 어려워진 재정비사업 지역 주민들은 지역 상황을 고려하지 않은 일률적 규제라며 항의 현수막을 거리에 내걸기도 했습니다.
[노원구 재개발사업 조합원 : 강남과 강북을 비교했을 때 똑같은 잣대로 정책을 하는 게 좀 불합리하게 생각을 하고.]
10·15 대책 발표 이후 새로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인 강북 지역의 거래량이 80%나 감소한 데 반해, 이미 규제 지역이던 강남 3구의 거래량 감소는 상대적으로 미미한 수준입니다.
야당에서는 정부가 일괄적인 규제 지역 설정을 위해 불리한 통계를 의도적으로 배재했다며 행정소송까지 제기한 상태인데, 강남지역의 분위기는 다릅니다.
대치동의 이 아파트의 경우 전용면적 114㎡ 형이 지난달 27일 63억 원의 신고가를 쓰는 등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가격 상승폭을 여전히 유지하고 있습니다.
[대치동 부동산 관계자 : 토지거래허가는 익숙해서 굳이 이걸 '내가 지금 싸게 팔겠다' 이런 분들은 없어요.]
당첨 시 최소 20억 원 이상의 현금이 필요한 반포 아파트 청약에 5만 명 넘게 몰릴 정도로 현금 부자들의 수요는 이어지고 있습니다.
[함영진/우리은행 부동산 리서치랩장 : 강북 지역이 강남 지역에 비해서 안전 자산에 대한 기대 심리가 상대적으로 낮고요. 또 대출이나 세금 규제에 대한 허들이 높아지면서 해당하는 민감도가 더 높았던 것으로 보여집니다.]
어제(13일) 회동을 가진 김윤덕 국토부 장관과 오세훈 서울 시장은 규제 지역 해제 여부와 관련한 구체적 논의는 없었다며, 공급 확대를 위해 함께 노력하기로 했다고 밝혔습니다.
(영상취재 : 제 일, 영상편집 : 이승열)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