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파 해체 작업 준비 중인 울산화력 보일러 타워
울산화력발전소 붕괴 사고 실종자 수색 작업의 장애가 되는 보일러 타워 2기를 발파·해체하기 위한 준비 작업이 마무리 단계입니다.
경찰은 어제(10일) 오후 6시부터 발파 지점 반경 300m 주변을 통제했으며, 오늘 발파·해체가 이뤄질 것으로 보입니다.
중앙사고수습본부는 어제 오후 현장 브리핑을 통해 "(발파 대상) 보일러 타워 계측 결과 기울어진 각도가 허용 범위 내로 측정돼 계획된 작업을 정상적으로 하고 있다"며 "사전 취약화 작업과 발파 시 비산 방지를 위한 조치를 진행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사전 취약화 작업은 발파 시 한번에 쉽게 무너지도록 철골 구조물과 기둥 등을 미리 잘라 놓는 것입니다.
무너진 보일러 타워 5호기의 양옆에 있는 붕괴 위험의 4호기와 6호기가 발파 대상입니다.
이 중 4호기는 사전 취약화 작업이 이미 끝났으며, 6호기는 계획대로 진행 중입니다.
돌발 변수가 없다면 조만간 발파가 이뤄질 전망입니다.
중수본은 발파 일시가 확정되면 발표할 계획입니다.
발파를 앞두고 어제 오후 6시부터 발파 지점 주변 진공 작업, 즉 인력과 장비가 대피하고 차량 진입 등을 통제하는 안전구역 설정 작업이 진행됩니다.
안전구역은 발파 지점으로부터 반경 300m로 설정됐습니다.
경찰은 안전구역 안으로 차량 등이 진입하지 못하도록 주변 도로를 막고 바리케이드 설치에 들어갑니다.
발파 작업은 붕괴 사고가 난 5호기의 발파·해체를 맡았던 업체 코리아카코가 담당하고 있습니다.
오영민 고용노동부 안전보건감독국장은 브리핑에서 "현재 이 보일러 타워 구조는 코리아카코가 가장 많이 알고 있다"며 "다른 업체가 새로 맡는다면 작업계획서를 다시 짜는 등 시간이 소요된다"고 설명했습니다.
현재는 각 보일러 타워의 높이 1m 지점과 13m 지점에 취약화 작업이 진행됐습니다.
발파가 문제없이 끝나면 소방 당국은 현장 안전 확인 후 곧바로 5호기에 매몰돼 있는 실종자와 사망 추정자 수색·구조에 들어갈 것으로 보입니다.
그동안 4호기와 6호기 붕괴 위험으로 수색·구조에 난항을 겪었으나 위험 요소가 없어지면 크레인 등 중장비도 동원할 계획입니다.
크레인이 먼저 5호기 잔해를 들어 올려 이동시키면 구조대가 본격적인 수색을 시작하게 됩니다.
지난 6일 발생한 5호기 붕괴 사고로 총 7명이 매몰됐으며, 이 중 3명의 시신이 수습됐다.
사망 추정 2명, 실종 2명이 아직 매몰돼 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