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주택의 7~80 퍼센트는 공장에서 미리 만들어놓고 현장에선 이걸 레고처럼 조립만 하는 '모듈러 주택'을 활성화하겠단 게 정부의 주택 공급 확대 방안에 들어 있습니다. 공사 기간이 짧으니까 매년 3천 호씩 빠르게 공급하겠단 건데, 해결해야 할 점도 많습니다.
정준호 기자입니다.
<기자>
7층 높이 416가구인 세종시의 한 공동주택입니다.
겉보기엔 기존 아파트와 똑같습니다.
사실은 공장에서 제작한 모듈 형태의 집을 이곳으로 운반한 뒤 쌓아 올려 조립한 '모듈러 주택'입니다.
[장은자/모듈러 주택 거주자 : 조립식이라는 것조차도 몰랐어요. 방음 너무 좋아요, 아주 안 들려요.]
모듈 여러 개를 이어 붙이면 복층으로 만들거나 집 크기를 넓힐 수도 있습니다.
[박영준/LH 세종특별본부 주택사업팀 : (모듈을) 인양할 준비를 하고 인양까지 완료하는 게 한 30분 정도 걸리고요. 그러면 사실 세대가 (작업) 완료됐다고 볼 수 있습니다.]
공장에서 만드니 날씨 영향을 덜 받아 공사 기간을 20% 이상 줄일 수 있고, 높은 곳에서 작업할 일이 적으니 안전사고 발생 확률도 낮습니다.
업계에선 모듈러 주택 시장이 5년 내 7배 이상 커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신속한 수도권 주택공급 요구가 커지는 상황에서, 정부가 '모듈러 주택' 활성화 정책을 추진하는 이유입니다.
정부는 특별법을 만들어 '모듈러 주택' 인증 제도를 만드는 한편, 불합리한 규제 해소와 인센티브 지원에 나서겠다는 계획입니다.
다만, 아직은 대량 자동화 생산 체제를 구축할 만큼 수요가 충분치 않아 공사비가 일반적인 방식보다 30%가량 비싸다는 게 단점입니다.
경제성 못지않게 30층 이상 고층으로 안전하게 지을 수 있는 기술도 개발해야 합니다.
[조봉호/아주대 건축학과 교수 : 접합 기술이 고층으로 가면 지진이나 아니면 태풍 같은 그런 하중에 잘 견뎌야 되거든요. 내진 성능을 확보하는 그런 기술이 좀 필요하고요.]
매년 3천 호의 공공 모듈러 주택 발주 물량을 확보해 수도권 주택공급 속도를 높이겠다는 게 정부의 구상인데, 조립식은 품질이 떨어진다는 세간의 인식을 바꾸는 고급화 전략도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영상편집 : 최진화, VJ : 정한욱)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