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어쩌나" 뺑뺑이 여전…"방지법 무용지물" 의사들 부글

<앵커>

생사를 다투는 순간에도 환자를 받아줄 곳이 없어 병원들을 전전해야 하는 '응급실 뺑뺑이' 문제가 반복되고 있습니다. 정치권이 각종 대책을 내놓고 있지만, 정작 응급의학 의사들이 반발하고 있습니다.

어떤 이유에서인지 장훈경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오토바이를 타다 넘어져 다친 50대 남성을 구하러 119구급대가 출동했습니다.

[구급대원 (지난 3월) : 미끄러진 것도 기억 안 나요? 왜 넘어졌는지?]

문제는 환자를 받아줄 응급실이 없다는 것.

[구급대원 : 안면부 쪽에 코랑 입 쪽이랑 광대뼈 쪽이랑 출혈이 있으시고요. OO병원에도 연락해봤는데 수술이 안 된다 해 가지고 저희가 병원 일단 알아보려고….]

결국, 20분간 여러 병원에 전화를 돌리고 나서야 병원에 갈 수 있었습니다.

인근 병원 명단과 이송 불가를 뜻하는 'X' 표시.

[구급대원 (지난 1월) : A 병원은 친보호자 없으면 안 된대. (B 병원은 팔로업(다니던 환자) 아니면 안 받아준대요.) 진짜 할 데가 없어, 그럼 이 사람을 어떻게 해야 되냐, 우리가.]

정부와 국회가 응급실 뺑뺑이 방지법이라며 응급의료법을 개정했는데, 응급과 의사들이 무용지물이라며 반발하고 나섰습니다.

[이강의/대한응급의학의사회 대외이사 : (내년 5월부터) 응급 의료 기관과 119의 실시간 환자 수용 가능 여부 확인 시스템을 구축하겠다고 하였으나 현실적으로는 이미 핫라인이 있고.]

특히, 구급대원이 전화로 응급실 수용 능력을 확인하게 한 규정을 없애고 병원이 환자 수용 불가 상황을 중앙응급의료상황센터에 의무적으로 고지하도록 하는 추가 법 개정안을 놓고 논쟁이 뜨겁습니다.

[김성현/공무원노조 서울소방지부 구급국장 (지난달 국정감사) : 전화로 일일이 확인하는 이러한 구조는 정말 말도 안 된다고 생각하고요. 사전고지 제도나 그런 부분 쪽으로 전환이 됐으면….]

[이형민/대한응급의학의사회 회장 : 환자의 수용이라고 하는 것은 전문적 판단이 필요한 의료행위임에도 행정 편의를 위해서 무조건 강제하려 하고 있다.]

경증 환자의 응급실 이용 완화 정책, 응급실 인력과 시설 확충 등 근본적 대책이 병행되지 않고는 응급실을 찾아 헤매는 문제가 해소되지 않을 걸로 보입니다.

(영상취재 : 하 륭, 영상편집 : 김종태)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