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상욱의 뉴스브리핑]
인터뷰를 인용보도할 때는 프로그램명 'SBS <편상욱의 뉴스브리핑>'을 정확히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저작권은 SBS에 있습니다.
■ 방송 : SBS <편상욱의 뉴스브리핑> 월~금 (14:00~16:00)
■ 진행 : 편상욱 앵커
■ 대담 : 김준일 시사평론가, 최선호 SBS 논설위원
--------------------------------------------
▶ "암 덩어리 안고 가봐야"
홍준표, '추경호 영장'에 국힘 정계 개편 가능성 시사
▷ 편상욱 / 앵커 : 이슈의 홍수 속에서 놓치지 말아야 할 뉴스만 골라 전해드립니다. 첫 번째 핫 키워드 '암덩어리 안고 가봐야'라고 꼽아봤는데요. 홍준표 전 대구시장의 발언입니다. 추경호 국민의힘 전 원내대표가 내란 중요 임무 종사 혐의로 구속 기로에 선 상황에서 당을 향해서 이런 충고를 남긴 건데요. 추경호 등이 기소되고 권성동 사건에서 통일교와 신천지 등의 국민의힘 경성 농단이 확인되면 정당 해산은 불가피하다. 그 시기가 지방선거 전이냐 차기 총선 전이냐에 차이가 있을 뿐이다. 그래서 강제 해산을 당할 바에는 차라리 자발적으로 해산을 하고 윤통 세력과 윤통 정권의 몰락을 초래한 한동훈 세력을 척결한 이후에 보수 진영을 재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암덩어리를 안고 가봐야 살이 되지는 않는다. 이렇게 좀 무시무시한 얘기를 썼습니다. 관련 이슈 명쾌하게 썰로 프로실 두 분 모셨습니다. 김준일 시사평론가, 최선호 논설의원 어서 오세요. 김준일 평론가, 일단 암덩어리를 안고 가봐야 살이 되지 않는다. 암덩어리가 누구인가요?
▶ 김준일 / 시사평론가 : 일단 그거에 앞서서 홍 시장님이 너무 오래 참으셨구나 거든요.
▷ 편상욱 / 앵커 : 오랜만에 쓰셨어요.
▶ 김준일 / 시사평론가 : 그러니까 이렇게 참으시는 분이 아닌데 굉장히 오랜만에 이렇게 직설적으로 이제 아마 제가 보기에는 좀 등판할 시기가 본인이 왔다라고 판단을 한 것 같습니다.
▷ 편상욱 / 앵커 : 지방선거 앞두고.
▶ 김준일 / 시사평론가 : 이 문제는 굉장히 명쾌해요. 사실은 이거를 추론하게 만든 게 아니라 정확하게 암 덩어리 그 앞에다가 이렇게 썼습니다. 윤통 세력과 윤통 정권 몰락을 초래한, 초래한 한동훈 세력 척결 후 암덩어리.
▷ 편상욱 / 앵커 : 윤통세력과 한동훈 세력 척결하면 국민의힘이 뭐가 남죠.
▶ 김준일 / 시사평론가 : 모르겠습니다. 홍준표 시장이 남을 수도 있고 뭐 탈당을 하셨지만 그래서 지금 이제 예전에 앙금들이 좀 있는 것 같아요. 이를테면 뭐 대선 후보 경선을 할 때 본인이 탈락했다라든지 그래서 친윤 세력들을 지금 정면으로 겨냥했다. 이렇게 보는 게 맞을 것 같고 한동훈 세력 한동원 전 대표에 대해서도 지금 좀 묵은 감정이 있어 보입니다.
▷ 편상욱 / 앵커 : 최선호 논설위원이 보기에는 이 암덩어리 누구인 것 같아요.
▶ 김준일 / 시사평론가 : 앞에서 잘 말씀하신 것 같고요. 스스로 밝혔죠. 윤석열 세력과 한동훈 세력 괄호 열고가 있는 것 같습니다. 두 세력 빼고 나를 중심으로 있는 것 같은데요. 정계 은퇴 선언을 지난 4월에 했지 않습니까. 그리고 아직 정확하게 복귀 선언을 한 건 아니에요. 그런데 이제 홍카콜라라고 해서 자기 유튜브 활동을 지금 잠잠했다고 그랬는데 사실 주목을 못 받아서 그렇지 홍카콜라 들어가 보면 계속 클립이 올라오고 있습니다. 현안에 대해서 계속 발언을 하고 계시거든요. 그런데 이제 현안에 대한 일반적인 발언이 별로 주목을 못 받고 이런 상황이다 보니까 이제 특유의 좀 독설을 한 것 같아요. 암덩어리 이렇게 하면서 독설을를 하면서 주목을 받는 그런 상황인 것 같습니다.
▷ 편상욱 / 앵커 : 나를 중심으로 국민의힘을 재편하자 이렇게 받아들이면 될까요.
▶ 최선호 / SBS 논설위원 : 그렇죠. 그러니까 앵커가 말씀하신 대로 한동훈 세력 빼고 친윤 세력 빼고 이러면 남는 사람이.
▷ 편상욱 / 앵커 : 얼마 안 될 것 같은데요.
▶ 최선호 / SBS 논설위원 : 그러니까 지금 뭐 탈당한 상황이기는 하지만 언제까지 당 외곽에서 있을지 그건 모르는 거잖아요. 이제 소위 말하는 정계 개편의 가능성을 지금 그 홍준표 전 대구시장이 항상 뛰어왔어요. 그래서 사실은 이준석 의원이 있는 개혁신당하고 손을 잡을 수도 있다. 칭찬도 하고 이랬단 말이에요. 그러니까 정계 개편이 되려면 어쨌든 선거를 앞두고 이합집산을 하든지 아니면 이렇게 큰 정당 해산 같은 이렇게 큰 정치적 사건이 있어야지 지금 가능할 수가 있으니 그걸 사실상 약간 본인이 원한다고 해서 그렇게 되는 건 아니지만 살짝 부추기고 있는 이슈를 띄우는 건데 보수 진영을 지지하시는 분들은 이게 곱게 보이지 않을 수도 있겠다. 그런 생각이 좀 듭니다.
▷ 편상욱 / 앵커 : 친윤 세력만 놓고 보면 최선호 논설위원, 권성동 의원은 이미 구속이 됐잖아요. 지금 추경호 전 원내대표에 대한 영장이 발부돼 있는데 국민의힘 내부 반응을 보면 권성동 의원 구속될 때는 큰 반발이 없었는데 이번에는 굉장히 크게 반발하는 것 같습니다. 왜일까요?
▶ 최선호 / SBS 논설위원 : 뭐랄까요. 개인의 문제로 치환할 수 있는지 아니면 이게 당 전체의 문제로 오는지 여기에서 좀 갈라지는 것 같아요. 그러니까 추경호 전 원내대표가 만약에 구속이 된다 면 이른바 내란 정당 그리고 주요 행위 종사자로 1심에서 만약에 유죄를 받게 된다면 그런 위헌 심판 위헌 정당 해산 관련한 그런 론이 훨씬 더 커질 수가 있겠죠. 이런 부분들 때문에 국민의힘이 뭐랄까 당력을 기울여서 전쟁을 선언하고 어떤 정권 교체 투쟁 뭐 이런 것까지 선언하는 것 한편에서는 이해는 되는데 그런데 냉정하게 생각해 봐서요. 추경호 원내대표 건에 대해서 사법적인 판단을 안 받고 넘어갈 수 있나요. 이 사안이 왜냐하면 12월 3일 10시 59분부터 시작해서 자정 갓 넘은 0시 3분까지 4차례에 걸쳐서 의원총회 장소를 바꿉니다. 그리고 그 사이사이에 홍철호, 한덕수, 윤석열 이 사 사람과 통화를 했어요. 그러면 이 행위에 대해서 어떻게 판단할 것인가 다시 말해서 이제 여당에서 주로 지적하고 있는 이걸 내란 주요 행위 종사자 이렇게 내란 행위 내란 행위에 동조한 것으로 이렇게 볼 것인지 아니면 우물쭈물하다가 우물쭈물하다가 정말 정치적으로 실책을 한 정치적 리더십의 문제로 볼 건지 이 판단 의 여부는 거칠 수밖에 없거든요. 어쨌든 이 과정에 대해서 국민의힘이 이걸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당 전체의 문제로 끌어안고 나섰기 때문에 뭐랄까요. 국민의힘이 이 사안 자체를 굉장히 스스로 키우고 있는 이런 측면도 좀 있는 것 같습니다.
▷ 편상욱 / 앵커 : 특검은 추경호 전 원내대표에 대해서 내란 연루 혐의로 구속영장을 청구했습니다만 추경호 전 대표 측은 의혹을 강하게 부인하고 있습니다. 일단 법조계에 서도 지금 스모킹 건이 없다면 기각될 가능성이 크다. 이렇게 보고 있는데 김준일 평론가 보기는 어때요? 법원이 추경호 전 원내대표에 대한 영장을 발부할까요.
▶ 김준일 / 시사평론가 : 그러니까 지금 이 언론을 통해서 공개된 구속영장 추경호 전 원내대표에 대한 구속영장만 보면 일종 의 추론이 좀 많이 차 있기는 가득 차 있기는 해요. 그래서 이렇게 이게 표결 방해 행위다라는 건데 실제 그런데 특검이나 검찰이 구속영장 실질심사에 갔을 때 이를테면 한 방을 꼭 들고 가는 때가 있어요. 대표적인 게 뭐냐 하면 김건희 여사 김건희 여사가 영장실질심사를 받을 때 무슨 일이 있었냐 하면 서희건설 이봉관 회장의 자술서가 갑자기 튀어 나왔다.
▷ 편상욱 / 앵커 : 자수서 자술서 그리고 실물 목걸이도 제출했죠.
▶ 김준일 / 시사평론가 : 그러니까 이거는 뭐 게임 끝났다. 그런 얘기가 나오거든요. 그러니까 실제 지금 영장을 청구할 때 거기에 모든 걸 기재하지는 않는다는 거예요. 그러면 지금 검찰이 그러니까 특검이 한 방에 가지고 있느냐 예를 들면 이런 겁니다. 지금 압수수색을 여러 개를 했고 원내대표 실에 있었던 직원들 당직자들 것도 이제 핸드폰도 압수수색하고 그랬단 말이에요. 그러면 예를 들면 뭐 예를 예시입니다. 그러면 윤석열 대통령이 원내대표한테 지시해서 표결에 가지 말라고 했는데 이거 어떻 게 해라는 것들이 이렇게 왔다 갔다 했다든지 예를 들면 뭐 카카오톡이라든지 이런 걸로 그러면 이거는 더 강력한 정황 증거가 되는 거죠. 그러면 그동안 모든 것을 부인해 왔던 추경호 대표가 구속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하지만 그게 있는지 없는지는 우리가 모르니까 좀 조심스럽게 얘기를 할 수밖에 없을 것 같습니다.
▷ 편상욱 / 앵커 : 그러면 이 구속영장에 적시하지 않은 이른바 스모킹건이 있을 수 있다. 이런 가능성을 지적해 주신 건데 그렇다면 만약에 추경호 원내대표에 대한 구속영장이 그 스모킹건 때문에 발부가 돼요. 그렇다면 이 민주당에서는 지금 국민의힘을 위헌정당 해산 심판 청구를 하겠다. 이렇게 나서고 있지 않습니까. 실제로 이게 가시화될 가능성도 있는 건가요?
▶ 최선호 / SBS 논설위원 : 글쎄요. 제 생각에는 구속이 되면 아무래도 이제 만약에 구속이 된다면 민주당에서 그 공세가 더 강해지는 건 충분히 예상해 볼 수 있는데 실제 위헌 정당 해산 관련해서 이제 정부가 청구를 해야 되는 거거든요. 그리고 사법부의 판단을 받아들이는 건데. 이걸 할지 말지는 지난번 정성호 법무부장관도 이야기했지만 최소한 1심 판결이 나와야 됩니다. 법적으로 뭔가 결론이 나야지 실제로 추진될 거고 그전에는 어떤 정치적인 공세 같은 게 벌어질 가능성이 크고요. 그리고 실제로 지난 이 사안 자체만 보면 과거에 통진당 같은 경우에 이것 때문에 위헌 정당으로 해산이 됐지 않습니까.
▷ 편상욱 / 앵커 : 선례가 있죠.
▶ 최선호 / SBS 논설위원 : 그렇습니다. 그때 됐던 게 내란 예비 음모거든요. 그런데 물론 이건 사법부에서는 내란 예비 음모도 인정이 안 되고 선동만 인정이 됐는데 그걸로도 당이 해산됐어요. 그런데 만약에 정말 추경호 원내대표가 내란 주요 행위 종사자로 유죄를 받는 상황이 된다고 그러면 이건 좀 복잡하죠. 이 부분에 대해서 충분히 그런 주장이 더 강해질 여지는 있다라고 보여지는데 다만 국민의힘은 좀 상황이 다르죠. 그때 왜냐하면 실제로 계엄 해제 결의안 표결할 때 국민의힘 의원들 17명인가요. 이렇게 참석했지 않습니까. 이런 부분들이 있기 때문에 또 이 논란의 여지가 있고 다만 이제 아주 아이러니한 건 그 계엄 해제 결의안에 참가했던 장동혁 의원이 지금은 완전히 반대 입장에서 가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아까도 말씀드렸지만 이 사안은 국민의힘이 뭔가 정무적 으로 끊어내야 할 부분을 끊어내지 못하면서 일을 계속 키우고 있는 상황 아닌가. 이렇게 평가가 됩니다.
▷ 편상욱 / 앵커 : 김준일 평론가 이 과정에서 또 흥미로운 게 이른바 탄핵을 두고 추경호 전 원내대표하고 각을 세웠던 국민의힘 그러니까 개혁신당 이준석 대표 같은 경우는 이제 떨어져 나왔습니다마는 이준석 개혁신당 대표하고 한동훈 전 대표는 지금 탄핵에 찬성을 했던 입장인데 추경호 원내대표의 구속영장 발부에 대해서는 굉장히 반대를 하고 있어요. 이건 왜 그런 겁니까?
▶ 김준일 / 시사평론가 : 이재명 정부의 특검이 이 무리하게 수사를 하고 있다. 이런 것을 강조하기 위해서 하나가 있는 것 같고요. 정치적인 이유가 있는 것 같습니다. 하나는 한동훈 대표는 어쨌든 배신자 프레임이 있잖아요. 페이스북에 쓴 글을 보면 우리 국민의힘 의원들이 탄핵 그러니까 비상계엄 해제에 많이 참석하지 않은 것은 좀 안타깝다. 이런 식으로 전제를 깔았지만 이거는 무리다라는 거거든요. 그러니까 배신자 프레임을 벗어나고 당원들의 지지를 얻기 위해서 한 것 같고 이준석 의원은 또 본인이 이번에 국민의힘하고 지방선거 앞두고 합당이나 이런 거 없다라고 밝히기는 했지만 지금도 끊임없이 연대설이 나오고 있거든요. 그러니까 그런 것들을 좀 어느 정도 의식한 게 아니냐 그렇게 보입니다.
▷ 편상욱 / 앵커 : 알겠습니다.
※ 자세한 내용은 동영상으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SBS 디지털뉴스편집부)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